± º 1 C : WD ` ¿ À n 2 L ¤ 2X û ï > ÑÑ Â (D 0I ³ · 2019-06-28 · U 8 û ¹ 8 i ä î...

83
- 1 - 뇌졸중 후 편마비 환자의 특성에 따른 일상생활동작 수행, 가족지지 및 우울 정도의 차이분석 연세대학교 보건환경대학원 보건관리전공 한 영 애

Transcript of ± º 1 C : WD ` ¿ À n 2 L ¤ 2X û ï > ÑÑ Â (D 0I ³ · 2019-06-28 · U 8 û ¹ 8 i ä î...

Page 1: ± º 1 C : WD ` ¿ À n 2 L ¤ 2X û ï > ÑÑ Â (D 0I ³ · 2019-06-28 · U 8 û ¹ 8 i ä î ± a Þ î Þ q ç ± & t F I ã À ( Ý ì 2 5 ý z ð ç ± ( ¶ ® û é è I

- 1 -

뇌졸중 후 편마비 환자의 특성에 따른

일상생활동작 수행,

가족지지 및 우울 정도의 차이분석

연세대학교 보건환경대학원

보건관리전공

한 애

Page 2: ± º 1 C : WD ` ¿ À n 2 L ¤ 2X û ï > ÑÑ Â (D 0I ³ · 2019-06-28 · U 8 û ¹ 8 i ä î ± a Þ î Þ q ç ± & t F I ã À ( Ý ì 2 5 ý z ð ç ± ( ¶ ® û é è I

- 2 -

뇌졸중 후 편마비 환자의 특성에 따른

일상생활동작 수행,

가족지지 및 우울 정도의 차이분석

지도 이 해 종 교수

이 논문을 석사 학위논문으로 제출함

2004년 6월 일

연세대학교 보건환경대학원

보건관리전공

한 애

Page 3: ± º 1 C : WD ` ¿ À n 2 L ¤ 2X û ï > ÑÑ Â (D 0I ³ · 2019-06-28 · U 8 û ¹ 8 i ä î ± a Þ î Þ q ç ± & t F I ã À ( Ý ì 2 5 ý z ð ç ± ( ¶ ® û é è I

- 3 -

한 애의 석사 학위논문을 인준함

심사위원 이 해 종 인

심사위원 진 기 남 인

심사위원 정 형 선 인

연세대학교 보건환경대학원

2004년 6월 일

Page 4: ± º 1 C : WD ` ¿ À n 2 L ¤ 2X û ï > ÑÑ Â (D 0I ³ · 2019-06-28 · U 8 û ¹ 8 i ä î ± a Þ î Þ q ç ± & t F I ã À ( Ý ì 2 5 ý z ð ç ± ( ¶ ® û é è I

감사의

논문을 시작하면서부터 순탄치 않았던 과정속에서 헤메고 있는 저를 인도해

주시고 개념들을 정립해주시며 새로운 아이디어를 주시고 끝까지 믿어주시며 격

려와 함께 지켜봐주신 이해종 교수님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따스한 인간미를

지니셨고 늘 잔잔한 미소를 가지셨으며 부드러운 말씨로 언제나 가까이 갈 수 있

도록 곁을 내어주셨고 잘 표현되지 못한 결과부분을 직접 연구하시면서 논문의

가치를 끌어올려주신 교수님께 정말 많은 가르침을 받았습니다. 서울을 오가시면

서 바쁘신 중에도 시간을 내주시면서 늘 명쾌한 답을 갖고 계시고 소신이 분명하

시며 학문적으로 철저하신 진기남 교수님, 지도해 주시고도 더 많이 못해주셨다고

미안해하시던 교수님의 모습을 잊을 수 없을 겁니다. 언제나 편안하고 다정하게

대해주시며 많이 부족함에도 용기와 칭찬으로 격려해 주신 정형선 교수님께 깊이

감사드립니다. 연구를 진행할 수 있도록 모든 여건을 허락해 주시고 또 다른 관심

으로 지켜봐 주신 이규식 교수님, 서 준 교수님께 감사드립니다. 전공을 바꾼 뒤

에도 늘 변함없는 애정으로 지켜봐주시고 후원해 주셨으며 기꺼이 시간을 내주시

면서 논문에 대해 좋을 아이디어를 주시기 위해 애쓰셨던 허혜경 교수님께 진심

으로 머리숙여 감사드립니다. 임상에 계실 때부터 많은 부분 가르침을 받았고 논

문을 계획할 때부터 혼란스러웠던 저에게 차근차근 이모저모를 설명해주시고 많

은 정보를 주시며 격려해 주시고 진행과정을 함께 걱정해 주시고 함께 기뻐해주

셨던 김대란 선생님께도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논문을 시작함에 있어서 너무나

큰 가르침이 되었습니다.

또한 큰 지붕같이 간호부를 지켜주시며 걱정없이 학업을 할 수 있도록 많은

관심과 애정을 주신 어금숙 간호부장님과 모든일에 열심히 이시고 일에 있어서

정확하시면서도 일을 떠난 안위까지 걱정해 주시던 김은희 간호과장님께 감사드

립니다. 이 논문이 나오기까지 저의 임상과 학업을 병행할 수 있도록 너무나 많은

배려를 해 주신 안은구 수간호사 선생님, 언제나 따뜻하면서도 걱정어린 눈빛으로

Page 5: ± º 1 C : WD ` ¿ À n 2 L ¤ 2X û ï > ÑÑ Â (D 0I ³ · 2019-06-28 · U 8 û ¹ 8 i ä î ± a Þ î Þ q ç ± & t F I ã À ( Ý ì 2 5 ý z ð ç ± ( ¶ ® û é è I

쳐다보시며 많은 얘기를 해주시고 한없이 들어주시고 어려운 상황속에서도 스케

쥴에 신경써 주시며 모든걸 믿고 이해해 주셨던, 항상 제편이 되어주시는 선생님

께 헤아릴 수 없을 만큼 깊이 감사드립니다. 힘겨움 속에서 짜증섞인 나의 말과

행동들을 다 이해해주고 때론 용기를 주며 걱정해주던 기독병원 81병동 가족들-

이애숙 책임간호사 선생님, 김경미 선생님, 신형순 선생님, 문학희 선생님, 장정혜

선생님, 김은경 선생님, 조현옥 선생님, 이정남 선생님, 정성애 선생님, 최 주 선

생님, 엄세은 선생님, 이정아 조무사, 연정근 기사님-께 감사드립니다. 묵묵히 지

켜봐주신 임상희 책임간호사 선생님, 선생님은 저에겐 또 다른 큰 힘입니다. 그리

고 82병동, 36병동 간호사 선생님들께도 감사드리며, 논문의 시작을 할 수 있도록

많은 데이터들을 모아주시고 도와주신 신경과 이재민 선생님과 모르는 통계학을

가르치면서 도와준 통계학과 김정훈 학생께도 감사드립니다.

그리고 내가 늘 바쁘다고 못만나주면서 서운하게 했던 나의 소중하고 사랑스

런 친구들-미나, 정미, 소 , 명주, 희경, 진아, 태경, 정남-과 고봉옥 선생님께 미

안함과 고마운 마음을 전합니다. 같은 학교를 다니면서 늘 그림자처럼 옆에서 많

은 조언과 궂은일을 서슴없이 도와준 소중한 친구 화순이와 바쁘신 업무 중에도

나의 일처럼 모든걸 기쁘게 도와주셨던 엄기봉 선생님께 마음깊이 감사의 마음을

드립니다. 석사과정 동안 모든 부분 함께했던 동기들인 최호현, 원경임, 강옥희, 박

봉숙 선생님이 큰 힘이 되었고 석사과정이 준 소중한 선물인 것 같습니다.

끝으로 늘 믿어주시고 자랑스러워 하셨던 하늘에 계신 사랑하는 아버지와 손

발이 되어 주시는 어머니께 감사드리며 자료수집을 함께 한다며 열심히 도와주었

던, 어려울 때 마다 위로와 배려를 아끼지 않았던 큰․작은 오빠 내외분, 큰․작은

언니 내외분께도 깊은 사랑과 감사의 마음을 전합니다. 이 순간의 모든 것들과 모

든 이들을 가슴 깊이 새기고자 합니다.

2004년 7월

한 애 올림

Page 6: ± º 1 C : WD ` ¿ À n 2 L ¤ 2X û ï > ÑÑ Â (D 0I ³ · 2019-06-28 · U 8 û ¹ 8 i ä î ± a Þ î Þ q ç ± & t F I ã À ( Ý ì 2 5 ý z ð ç ± ( ¶ ® û é è I

차 례

국문요약............................................................................................................. i

Ⅰ.서론 .............................................................................................................. 1

1. 연구의 필요성 ....................................................................................... 1

2. 연구목적 .................................................................................................. 3

Ⅱ. 이론적 고찰................................................................................................ 4

1. 가족지지 .................................................................................................. 4

2. 일상생활동작 수행 ............................................................................... 7

3. 우울 ........................................................................................................ 10

4. 일상생활동작 수행과 우울 ............................................................... 11

5. 가족지지와 우울 ................................................................................. 11

Ⅲ. 연구방법 .................................................................................................. 12

1. 연구의 틀 .............................................................................................. 12

2. 용어의 정의 .......................................................................................... 13

3. 연구대상 ................................................................................................ 15

4. 자료수집 방법 ..................................................................................... 15

5. 연구도구................................................................................................. 15

6. 자료분석 방법....................................................................................... 18

Ⅳ. 연구결과 ................................................................................................. 19

1. 환자의 특성 ......................................................................................... 19

가. 일반적 특성 ..................................................................................... 19

나. 질병관련 특성 ................................................................................. 21

다. 가족관련 특성 ................................................................................. 22

Page 7: ± º 1 C : WD ` ¿ À n 2 L ¤ 2X û ï > ÑÑ Â (D 0I ³ · 2019-06-28 · U 8 û ¹ 8 i ä î ± a Þ î Þ q ç ± & t F I ã À ( Ý ì 2 5 ý z ð ç ± ( ¶ ® û é è I

2. 환자의 일상생활동작 수행, 가족지지, 우울 및 상관분석 ....... 24

가. 현황 ................................................................................................... 24

1) 환자의 일상생활동작 수행 정도 ............................................... 24

2) 환자의 가족지지 정도 ................................................................. 26

3) 환자의 우울 정도 .......................................................................... 29

나. 환자의 일상생활동작 수행, 가족지지, 우울의 상관관계 .... 32

3. 일상생활동작수행, 가족지지, 우울과 환자의 특성간의 관계 ....... 33

가. 환자의 특성에 따른 일상생활동작 수행정도의 차이 ................ 33

1)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일상생활동작 수행정도 ......................... 33

2) 질병관련 특성에 따른 일상생활동작 수행정도 ..................... 34

3) 가족관련 특성에 따른 일상생활동작 수행정도 .................. 35

나. 환자의 특성에 따른 가족지지 정도의 차이 ........................... 36

1)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가족지지 정도 .................................... 36

2) 질병관련 특성에 따른 가족지지 정도 .................................... 37

3) 가족관련 특성에 따른 가족지지 정도 ...................................... 38

다. 환자의 특성에 따른 우울 정도의 차이 .................................... 39

1) 일반적 특성에 따른 우울 정도 .................................................. 39

2) 질병관련 특성에 따른 우울 정도 .............................................. 40

3) 가족관련 특성에 따른 우울 정도 .............................................. 41

Ⅴ. 고찰 .......................................................................................................... 42

Ⅵ. 결론 및 제언 .......................................................................................... 47

참고문헌 ......................................................................................................... 51

부록 ................................................................................................................. 55

문요약 ......................................................................................................... 69

Page 8: ± º 1 C : WD ` ¿ À n 2 L ¤ 2X û ï > ÑÑ Â (D 0I ³ · 2019-06-28 · U 8 û ¹ 8 i ä î ± a Þ î Þ q ç ± & t F I ã À ( Ý ì 2 5 ý z ð ç ± ( ¶ ® û é è I

표 차 례

표 1. 일반적 특성 ....................................................................................... 20

표 2. 질병관련 특성 ................................................................................... 21

표 3. 가족관련 특성 ................................................................................... 23

표 4. 환자의 일상생활동작 수행정도 현황 .......................................... 25

표 5. 환자의 가족지지 정도 현황 .......................................................... 27

표 6. 환자의 우울 정도 현황 ................................................................... 30

표 7. 환자의 가족지지, 일상생활동작 수행, 우울의 상관관계 ....... 32

표 8.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일상생활동작 수행정도 ............................ 33

표 9. 질병관련 특성에 따른 일상생활동작 수행정도 ....................... 34

표 10. 가족관련 특성에 따른 일상생활동작 수행정도 ...................... 35

표 11.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가족지지 정도 .......................................... 36

표 12. 질병관련 특성에 따른 가족지지 정도 ...................................... 37

표 13. 가족관련 특성에 따른 가족지지 정도 ...................................... 38

표 14. 일반적 특성에 따른 우울 정도 ................................................. 39

표 15. 질병관련 특성에 따른 우울 정도 ............................................. 40

표 16. 가족관련 특성에 따른 우울 정도 ............................................. 41

Page 9: ± º 1 C : WD ` ¿ À n 2 L ¤ 2X û ï > ÑÑ Â (D 0I ³ · 2019-06-28 · U 8 û ¹ 8 i ä î ± a Þ î Þ q ç ± & t F I ã À ( Ý ì 2 5 ý z ð ç ± ( ¶ ® û é è I

그림 차례

그림 1. 연구의 틀 ....................................................................................... 12

그림 2. 일상생활동작 수행정도 평균 .................................................... 25

그림 3. 가족지지 전체 평균 .................................................................... 27

그림 4. 정서적 지지 평균 ........................................................................ 28

그림 5. 정보적 지지 평균 ........................................................................ 28

그림 6. 물질적 지지 평균 ........................................................................ 28

그림 7. 평가적 지지 평균 ........................................................................ 28

그림 8. 우울 전체 평균 ............................................................................ 30

그림 9. 정동적 우울 평균 ........................................................................ 31

그림 10. 생리적 우울 평균 ...................................................................... 31

그림 11. 심리적 우울 평균 ...................................................................... 31

Page 10: ± º 1 C : WD ` ¿ À n 2 L ¤ 2X û ï > ÑÑ Â (D 0I ³ · 2019-06-28 · U 8 û ¹ 8 i ä î ± a Þ î Þ q ç ± & t F I ã À ( Ý ì 2 5 ý z ð ç ± ( ¶ ® û é è I

국문요약

본 연구는 뇌졸중 후 편마비 환자의 일상생활동작 수행, 가족지지 및 우울의

현황을 알아보고, 환자의 특성에 따른 각각의 차이와 세 변인들간의 관계성을 분

석함으로써 편마비 환자의 긍정적인 재활활동을 돕기 위한 간호중재의 기초를 제

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의 자료 수집은 원주에 소재한 W종합병원의 입원병

실 또는 외래를 내원하는 뇌졸중 후 편마비 환자(입원60명, 외래60명)를 대상으로

하여 2004년 3월 29일부터 4월 24일까지 설문지 조사를 실시하 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환자의 일상생활동작 수행, 가족지지 및 우울의 상관분석을 실시해 본 결과 일

상생활동작 수행정도와 가족지지도는 유의확률이 0.421로 서로 상관관계가 없음을

보이고 있는 반면에 일상생활 수행능력은 환자의 우울정도와 유의수준 0.01 하에

서 유의적인 값을 가지고 있으며, 또한 가족지지도의 경우도 환자의 우울정도와

유의수준 0.01 하에서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여기서 우울의 값의

의미는 점수가 높을수록 우울의 정도가 낮은 것을 의미하므로 사실로 보면 일상

생활동작 수행 및 가족지지는 우울 정도와 음의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환자의 특성에 따른 일상생활동작 수행 정도는 연령이 40대 이하인 경우, 결혼

상태에서 배우자가 있는 경우, 교육수준이 고퇴/졸 이상인 경우, 보조기를 사용하

지 않는 경우, 손상 후 모임, 취미, 오락변화에서 변화가 없는 경우, 손상 전․후

가족 부양자와 치료비 부담자가 본인인 경우에서 수행능력이 높은 것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P<.05).

3. 환자의 특성에 따른 가족지지 정도는 결혼상태에서 배우자가 있는 경우, 주 간

호자가 배우자인 경우, 가족형태에서 부부만 사는 경우, 손상 전․후 가족 부양

Page 11: ± º 1 C : WD ` ¿ À n 2 L ¤ 2X û ï > ÑÑ Â (D 0I ³ · 2019-06-28 · U 8 û ¹ 8 i ä î ± a Þ î Þ q ç ± & t F I ã À ( Ý ì 2 5 ý z ð ç ± ( ¶ ® û é è I

자와 치료비 부담자가 배우자인 경우, 경제수준은 중 이상인 경우, 한달 평균수입

은 200만원 이상인 경우에서 가족지지 정도가 높은 것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

다(P<.05).

4. 환자의 특성에 따른 우울 정도는 연령이 40대 이하인 경우, 직업이 있는 경우,

결혼상태에서 배우자가 있는 경우, 교육수준이 고퇴/졸 이상인 경우, 주 간호자가

배우자인 경우, 가족형태에서 자녀와 사는 경우, 손상 전․후 가족 부양자와 치료

비 부담자가 본인인 경우에서 우울 정도가 낮은 것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P<.05).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뇌졸중 후 편마비 환자의 일상생활동작 수

행, 가족지지 및 우울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가족지지인

경우에는 대부분의 환자가 전적으로 가족지지를 받고 있는 상황이어서 가족지지

정도에 따른 우울정도를 보는 것에는 큰 의미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일

상생활동작 수행인 경우에는 질병의 중증도에 의해 많은 부분 환자가 직접 동작

수행을 할 수 없기에 우울에 크게 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각의 현황을

보면 대부분의 환자들이 수행능력에 있어 도움을 필요로 하는 수준임을 나타내고,

가족지지도가 높으며, 대부분의 환자가 우울을 느끼는 것을 나타낸다. 일상생활동

작 수행정도와 관련이 있는 주요변인으로는 연령, 배우자의 유무, 교육수준, 보조

기, 손상 후 모임․취미․오락의 변화, 손상 전․후 가족 부양자, 치료비 부담자를

들 수 있었다. 가족지지 정도와 관련이 있는 주요변인으로는 배우자의 유무, 주

간호자, 가족 형태, 손상 전․후 가족 부양자, 경제수준, 한달 평균 수입, 치료비

부담자를 들 수 있었다. 우울 정도와 관련이 있는 주요변인으로는 연령, 직업의

유무, 배우자의 유무, 교육수준, 주 간호자, 가족 형태, 손상 전․후 가족 부양자,

치료비 부담자를 들 수 있었다.

그러므로 뇌졸중 후 편마비 환자들의 특성을 파악하고 일상생활동작 수행, 가

족지지 및 우울의 현황과 환자의 특성에 따른 정도의 차이를 분석하고 이해함으

로써 일상생활동작 수행을 용이하게 하는데 도와주고 가족지지 정도를 높일 수

Page 12: ± º 1 C : WD ` ¿ À n 2 L ¤ 2X û ï > ÑÑ Â (D 0I ³ · 2019-06-28 · U 8 û ¹ 8 i ä î ± a Þ î Þ q ç ± & t F I ã À ( Ý ì 2 5 ý z ð ç ± ( ¶ ® û é è I

있으며 따라서 우울이 감소하게 됨으로써 장기적인 긍정적 재활치료를 하는데 도

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상생활동작 수행, 가족지지 및 우울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다양한 간호중재술 개발에도 깊은 관심을 기울여야 할 것으로 본다.

핵심되는 말 : 일상생활동작 수행, 가족지지, 우울

Page 13: ± º 1 C : WD ` ¿ À n 2 L ¤ 2X û ï > ÑÑ Â (D 0I ³ · 2019-06-28 · U 8 û ¹ 8 i ä î ± a Þ î Þ q ç ± & t F I ã À ( Ý ì 2 5 ý z ð ç ± ( ¶ ® û é è I

- 1 -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최근 뇌졸중은 과학문명의 발달과 생활환경개선으로 평균수명의 연장과 노령

인구의 증가와 더불어 발생빈도가 증가하고 있으며, 젊은 층에서도 점차 늘고 있

는 추세이다. 사회 경제적인 발전으로 인한 생활수준의 향상과 급속한 의학의 발

달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는 뇌혈관 질환으로 인한 사망이 가장 많은데 단일 질

환으로서는 뇌졸중이 압도적으로 많다(통계청보고, 1998). 성인병의 하나인 뇌졸중

은 뇌혈관장애로 인한 질환 및 사고의 총칭으로 일반적으로는 뇌혈관의 순환장애

나, 뇌출혈로 인해 갑작스러운 의식장애와 함께 신체의 편측에 마비를 일으키는

급격한 뇌혈관 질환을 말한다(최일생 등, 1992; Turner, 1992; Bonita, 1992).

뇌졸중은 사회나 가정에서 책임이 큰 40대 이후에 대부분 발생한다. 문제는

뇌졸중이 높은 발생률과 생존자의 대부분이 장애를 가지게 되는 독특한 역학적

측면을 가진 질병(Gresham, 1986)이라는 사실이다. 뇌졸중 환자는 기동성, 사지기

능, 배설기능, 성기능 등 인체의 필수적인 신체기능이 저하되고 감각장애, 기억장

애, 정서장애 등으로 인한 심리적 불안을 느끼며 자아에 대한 위협과 낮은 자존감

을 갖게 되며 또한 자가간호결핍, 의사소통 제한과 함께 사회적인 모든 기능이 저

하되게 된다(Anderson, 1988). 따라서 이러한 기능의 장애는 일상생활동작

(Activities of Daily Living : ADL)의 통합적인 조화과정에 향을 주게 된다

(Lorraine, 1996). 뇌졸중 후 대부분의 생존자들은 어느 정도의 신경학적 회복을

경험하지만 약 30%-60%의 환자는 일상생활동작을 수행하는데 타인의 도움을 필

요로 하며(Skilbeck 등 , 1983), 장기간에 걸쳐 일상생활동작을 독립적으로 수행하

지 못할 경우 환자는 무력감과 우울에 빠진다(Hopkins 등 , 1993).

뇌졸중으로 인한 편마비 환자는 신체기능장애로 인한 보행장애와 일상생활

활동장애, 시력장애, 감각장애 등으로 야기되는 신체적 요인의 불안과 가족관계,

가족 내의 역할의 변화, 대인관계에 대한 두려움으로 인한 사회적 요인의 불안, 입

원으로 인한 치료비 부담감, 직장복귀문제, 오락이나 취미생활의 어려움, 병원환경

Page 14: ± º 1 C : WD ` ¿ À n 2 L ¤ 2X û ï > ÑÑ Â (D 0I ³ · 2019-06-28 · U 8 û ¹ 8 i ä î ± a Þ î Þ q ç ± & t F I ã À ( Ý ì 2 5 ý z ð ç ± ( ¶ ® û é è I

- 2 -

에 대한 불편감 등으로 심리적 요인의 불안을 경험하게 된다(박원경, 1987). 이에

따라 환자는 우울, 좌절, 불안과 같은 정서적 고통을 경험하게 되며, 이러한 정서

적 고통이 심할 경우에는 회복에도 심각한 향을 미치게 된다(Feibel &

Springer, 1982).

우울증은 이러한 환자들이 겪게 되는 대표적인 신경정신적인 후유증의 하나

로서 무력감과 절망감을 동반한 자신감퇴, 무가치나 죄책감, 사고력과 주의집중력

의 감소, 현저한 체중감소나 증가, 자살을 생각하거나, 성적충동의 상실, 불면이나

수면과다, 정신운동성 격정이나 지체 변화의 증상 중 4가지 증상이 적어도 최근 2

주간 계속되는 경우에 진단이 가능하다(Minot, 1986). 이러한 우울증은 뇌졸중 환

자에게서 흔히 나타나는 것으로(Finklestein 등, 1987), Feibel 과 Springer(1982)

는 뇌졸중 환자 중 20%-60%에서 우울이 발생하며 뇌졸중 환자의 26%는 발병된

후 6개월부터 우울증이 나타난다고 보고하 다.

뇌졸중 환자에서 우울의 원인은 다양한데, 흔히 자기가 버림을 받을 지도 모

른다거나 응급상태가 발생 할지도 모른다는 공포, 보호자 없이 스스로 일하거나

움직일 수 없다는 불안감은 적개심과 같은 양상으로 나타나서 환자는 흥분하기

쉽고 주의집중이 어려워 예후에 좋지 않은 향을 미치게 된다고 한다(안용팔,

1984). 이러한 상황에서 가족지지는 환자로 하여금 위기에 대처하고 변화에 적응

하도록 촉진하는 역할을 하며(김조자, 1982), 질환이 장기화되고 만성화되는 과정

에서 환자는 누군가의 지속적인 도움이 필요하게 된다(조복희, 1998). 따라서 뇌졸

중으로 인한 편마비 환자들은 의료조직에 의한 도움보다 가족의 도움이 환자에게

더욱 중요하다(Berkman, 1985). 사실 환자에게 있어서 가족은 광범위하고 무한정

한 에너지장 이라는 점에서(Hollen, 1980) 환자에 대한 가족지지는 환자가 일상생

활을 해 나가는 데에 가장 중요하다 하겠다. 현대사회는 전통사회와는 달리 노인

만의 단독가구, 핵가족화, 취업여성인구의 증가 등으로 가족의 형태가 변화되었고,

자녀들이 부모에 대한 부양의식과 지역연대감이 약화되어 종래의 가족관계나 가

족부양을 기대하기가 어렵게 되었다. 또한 외국과는 달리 입원에서부터 환자와 보

호자가 함께 하는 우리나라의 상황을 고려해 볼 때 가족과 관련된 연구가 필요하

다고 본다.

Page 15: ± º 1 C : WD ` ¿ À n 2 L ¤ 2X û ï > ÑÑ Â (D 0I ³ · 2019-06-28 · U 8 û ¹ 8 i ä î ± a Þ î Þ q ç ± & t F I ã À ( Ý ì 2 5 ý z ð ç ± ( ¶ ® û é è I

- 3 -

현재, 국내의 편마비 환자에 대한 연구로는 편마비 환자가 지각한 가족지지와

불안과의 관계연구(이명해, 1991), 뇌졸중 후 편마비 환자의 삶의 질(편성범 등,

1999), 뇌졸중으로 인한 편마비 환자가 지각한 스트레스와 우울에 관한 연구(박원

경, 1987), 편마비 환자의 가족지지와 일상생활동작 수행과의 관계분석(강복희,

1999), 뇌졸중 환자의 일상생활동작 수준에 따른 스트레스 및 우울에 관한 연구

(김경선, 1995)에 대한 연구는 다수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뇌졸중 후 편마비 환자의 일상생활동작수행, 가족지지와 우울에 관한

상관관계 연구는 미흡한 상태이다. 또한 기존의 환자의 가족지지 정도와 일상생활

동작 수행과의 상관성연구와 우울에 관한 연구도 일상생활동작 수행, 가족지지, 우

울에 향을 미치는 변인을 규명하기에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외국과는

달리 입원에서부터 환자와 보호자가 함께 하는 우리나라의 상황을 고려해 볼 때

뇌졸중 후 편마비 환자의 가족지지와 우울 정도의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본 연구는 뇌졸중 후 편마비 환자의 특성이 일상생활동작 수행, 가족지지, 우

울 정도에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고자 한다. 뇌졸중 후 편마비 환자와 보호자에게

재활의 문제를 인식하도록 적절한 충고와 지지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일상생활동

작 수행, 가족지지, 우울 정도와 미치는 요인을 환자와 보호자, 의료진이 정확하게

알아야 성공적인 재활을 기대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요인을 알아보는 것은 환

자의 긍정적 재활에 큰 도움이 될 것이다.

2. 연구의 목적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뇌졸중 후 편마비 환자의 일상생활동작 수행정도와

가족지지 정도 및 우울 정도의 현황을 파악하고, 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일상생활

동작 수행정도, 가족지지, 우울 정도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자의 특성은 일반적 특성, 질병관련 특성, 가족관련 특성을 말한다.

Page 16: ± º 1 C : WD ` ¿ À n 2 L ¤ 2X û ï > ÑÑ Â (D 0I ³ · 2019-06-28 · U 8 û ¹ 8 i ä î ± a Þ î Þ q ç ± & t F I ã À ( Ý ì 2 5 ý z ð ç ± ( ¶ ® û é è I

- 4 -

Ⅱ. 이론적 고찰

1. 가족지지

가족은 국가나 사회가 형성되기 이전부터 이미 존재한 공동체로써 사회형성

의 기초를 이루는 기본단위이다. 가족은 인간의 생리적 정서적 욕구를 만족시켜주

는 안식처요, 애정에 찬 인간관계가 이루어지는 장(field)이다. 따라서 개인은 자신

의 육체적․정서적 안정은 가족을 통해서 해결하며 그것이 에너지원이 되어 사회

에 참여한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가족의 행복을 위해 마음을 쓰기 때문에 가족을

위해 열심히 일한다. 아마도 인간에게 가정의 행복 없이 진정한 행복을 기대하기

란 어려울 것이다. 어떻게 보면 많은 경우 가족을 통해 자아실현의 경지를 찾는

다고 보아도 과언은 아닐 것이다. 이러한 가족은 가족의 기능이 구조적으로나 역

할 면에서 원만하게 이루어졌을 때 가능하다. 만일 구조적으로 깨어진 가족이거나

역할에 혼돈이 있을 경우, 그 가족 구성원의 바람직한 성격형성에 차질이 올 것이

며, 나아가 안식처나 자아실현의 장으로서의 가족의 기능을 기대할 수 없을 것이

다. 이와 같이 가족은 개인의 개성을 형성하는 장이며, 정체성의 모체(the matrix

of identity)가 되는 것이다(최순남, 1998).

가족은 각 가정마다 고유한 특성을 지니고 있으며 나름대로의 규칙, 역할, 세

력, 구조, 의사소통의 유형을 발전시켜온 하나의 사회적 체계이다(Goldenberg,

1980). 가족은 정서적인 면에서 보다 많은 향을 주고받는데, 어떤 가족 치료자는

가족을 한 조각이 흔들리면 줄에 매달린 다른 모든 모형들이 자신의 의지와는 관

계없이 모두 흔들리는 속성을 가진 모빌에 비유하 다. 이는 가족이란 가족 성원

모두의 정서적 애착과 충성으로 서로 묶여 있다는 것을 단적으로 표현해 주는 것

이다.

최근 건강과 관련된 연구에서 사회적 측면에 비중을 두어 사회적 지지라는

하나의 중요한 정신적․사회적 변수로 대두되고 있으며, 사회적지지 개념의 한 부

분으로 가족지지 개념을 설명하고 있다. Cobb(1976)은 돌봄과 사랑을 받고 있다고

Page 17: ± º 1 C : WD ` ¿ À n 2 L ¤ 2X û ï > ÑÑ Â (D 0I ³ · 2019-06-28 · U 8 û ¹ 8 i ä î ± a Þ î Þ q ç ± & t F I ã À ( Ý ì 2 5 ý z ð ç ± ( ¶ ® û é è I

- 5 -

믿게 하는 정서적 지지, 존경을 받고 가치 있다고 믿게 해 주는 지지를 통합하여

사회적 지지로 보았다. Lin, Simeone, Ensel, 그리고 Kuo(1979)은 타인, 집단, 지

역사회에 의한 사회적 결속을 통해 개인이 얻을 수 있는 지지로서 보살핌, 관심,

사랑, 인정, 도움, 이해, 가치감 등으로 정의하 다.

Dimond(1979)는 다른 사람에 대한 긍정적 감정의 표현, 타인의 행동이나 지

각의 인정, 타인에 대한 상징적, 물질적 도움의 제공중 하나나 그 이상을 포함하는

대인 관계적 기대로 정의하 다. Richter(1984)는 사회적 지지를 대인 관계적 지지

와 동일시하면서 정서적 지지와 물질적 도움, 그리고 정보제공을 포함하여 정의하

다. 또한 박오장(1985)은 Kahn의 사회적지지 개념의 인용에서 개인간의 상호작

용으로서 타인에 대한 호감(affection), 타인의 언행에 대한 인정(affirmation), 그리

고 타인에 대한 상징적이거나 물질적인 도움(aid)등의 지지적인 작용이라 했다.

이러한 개념을 기초로 가족지지에 대해 살펴보면 가족은 현존하는 사회 체제

중 가장 오래되고 결속력이 강한 개방체제이며, 인간의 일차적 집단으로 기본요구

를 충족시키고, 평형유지를 위해 가족 구성원들과 상호의존적이며 상호작용하는

복합적인 조직망이다(Stubbs, 1973). 가족의 주요기능에 대해 Hollen(1981)은 사회

적 규범으로 인정된 사랑과 지지의 교환이라고 했고, Hample(1975)는 안정, 동정,

지지의 근원이라고 했다. Hamburg(1967)는 가족지지는 일생을 통해 계속되는 사

회적지지 체제로서의 중요성을 지닌다고 했으며, Cobb는 위기에 대처하고 변화에

적응하도록 촉진하는 역할을 한다고 했다.

또한 지지적 행위의 속성은 크게 4범주로 분류할 수 있는데 첫째는 존경, 애

정, 관심, 신뢰, 경험의 행위를 포함한 정서적 지지, 둘째는 개인이 문제에 대처하

는 데 이용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적 지지, 셋째는 일을 대신해 주거나

돈, 물건을 제공하는 등 필요시 직접적으로 돕는 행위를 포함한 물질적 지지, 그리

고 넷째는 자신의 행위를 인정해 주거나 부정하는 등 자기 평가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평가적 지지로 대별 할 수 있다(박지원, 1985). Caplan(1974)은 지지체제

로서 전문가와 공식적인 사회시설 뿐만 아니라 가족, 비전문적이고 비공식적인 사

회단위, 개인 상부상조, 기구를 포함시켰고 지지적 내용을 4가지로 분류했는데, 첫

째, 정서적 지지 둘째, 물질적 지지, 즉 돈을 주거나 일을 돕는 것과 같은 직접적

Page 18: ± º 1 C : WD ` ¿ À n 2 L ¤ 2X û ï > ÑÑ Â (D 0I ³ · 2019-06-28 · U 8 û ¹ 8 i ä î ± a Þ î Þ q ç ± & t F I ã À ( Ý ì 2 5 ý z ð ç ± ( ¶ ® û é è I

- 6 -

인 도움, 셋째, 정보의 제공 즉 문제점을 대처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

하는 것, 넷째, 평가적 지지로서 자기 자신을 확인하고 평가할 수 있도록 개인의

행동에 대한 feed back을 하는 것이다.

건강과 질병에 있어서 가족역할의 중요성에 관한 많은 선행 연구가 진행되었

다. Minuchin(1978)등은 질병에 걸렸을 때 성공적인 적응을 하는 가족의 특성은

가족의 역할이 뚜렷하고 융통성이 있고 의사소통이 잘 이루어지고 개성이 존중되

고 수용되며 지지되는 가족이라고 하 고, Molter(1979)는 가족이 환자의 회복에

미치는 향에 대해 설명하면서 가족은 환자의 적응을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고

하 다.

만성질환자들에 있어서도 가족의 지지는 환자의 회복에 큰 향을 미친다는

것이 보고 되었고(Kaplan, 1977), Rakel(1977)은 배우자가 가장 유효하고 향력

있는 가족구성원이며 배우자의 지지는 장기질환의 관리에 필요한 구성요소라고

하 다. 특히 Thompson & Streib(1961)는 가족관계는 노인들에게 있어서 가장 중

요한 사회적 관계라고 주장하 으며, Shnas(1979) 역시 노인들은 아플 때 가장 먼

저 가족에게 간다고 하면서 가족의 중요성을 강조하 다.

지지체제로서의 가족의 역할을 다양하다. Caplan(1977)에 의하면 가족은 첫째

세상에 대한 정보를 수집전달하고, 둘째 평가적 안내체제이며, 셋째 신념과 가치,

행동강령의 주요 자원이 되고, 넷째 문제해결의 안내자 역할을 하며, 다섯째 실제

적인 도움을 제공하고, 여섯째 안정과 회복을 위한 안식처를 제공하며, 일곱째 행

동을 통제하고 형성하며, 여덟째 정서적 조절에 기여한다. 또한 Orem(1980)은 자

기간호 역량이 부족한 가족구성원에 대한 간호제공자로써의 가족의 역할을 강조

하여 개인의 문제해결을 위해서는 가족의 도움이 필요함을 언급하고 있다. 즉 가

족은 건강요원보다 더욱 편안하고 용이하게 환자의 불안을 해소하는 기능을 할

수 있으며, 정서적 감각 이탈의 위험을 감소시키는 막대한 잠재력과 오랫동안의

친숙함과 이해력을 발달시켜온 인간의 본능적인 것을 환자에게 제공한다

(Marguerite, 1981). 이러한 역할과 기능을 하는 가족은 환자회복을 위한 동기와

지지를 제공할 뿐 아니라 위험요인의 교정 및 변화를 위한 환경을 조성하여 환자

로 하여금 가치 있는 행동수정을 유지하고 촉진하게 하는 등 환자의 회복과정에

Page 19: ± º 1 C : WD ` ¿ À n 2 L ¤ 2X û ï > ÑÑ Â (D 0I ³ · 2019-06-28 · U 8 û ¹ 8 i ä î ± a Þ î Þ q ç ± & t F I ã À ( Ý ì 2 5 ý z ð ç ± ( ¶ ® û é è I

- 7 -

결정적인 향을 미치게 된다(Croog, 1970; Robert, 1988). 강현숙(1984)은 편마비

환자의 재활과정 중 자가간호 이행 및 자가간호 수행에 향을 미치는 요인 가운

데 하나가 가족의 지지라는 점을 제시하 다. 김순오(1986)의 하반신마비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도 가족지지와 자가간호활동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Molter(1979)는 만성질환자의 회복에 가족이 큰 향을 미치며, 가족과

강한 유대관계 갖는 성인은 스트레스 상황에 더욱 잘 대처한다고 했으며,

Rakel(1977)은 배우자가 가장 유용하고 향력 있는 가족 구성원이며, 가족의 지

지는 장기질환에 가장 필요한 요소라고 지적하 다. 따라서 지지체제로서의 가족

은 환자의 건강상태와 심리적 상태에 향을 미치며, 환자역할 행위를 촉진시키고

여러 가지 정서적 문제를 예방 및 감소시켜 준다고 말할 수 있다.

2. 일상생활동작 수행

일상생활동작은 주위환경에 적응하는 능력을 말한다(Spector 등, 1987). 구체

적으로 말하면, 일상생활동작이란 먹기, 입기, 대소변 처리하기, 기능적인 운동능

력, 지역사회로의 이동능력, 기능적인 의사소통능력 등의 자기관리 능력이라고 정

의 할 수 있다(AOTA, 1994). Toole & Perdetti(1990)의 연구에 의하면 뇌졸중 환

자의 3/4은 편마비로 인한 보행장애와 일상생활동작 수행장애로 남에게 의존하게

되며, 기억손상, 인지능력장애, 감각장애, 시각장애, 청각장애, 실어증 등으로 사회

로의 적응이 어렵다. 따라서 뇌졸중 환자들은 요실금, 대변실금 등의 복합적인 손

상은 신체뿐만 아니라 사회적, 심리적, 가정생활 면에서 여러 가지 문제를 야기시

킨다고 하 다. 이러한 기능의 장애는 일상생활동작(Activities of Daily Living :

ADL)의 통합적인 조화과정에 심각한 향을 주게 된다(Lorraine, 1996). 일상생활

동작을 적절히 수행하지 못할 때에 환자는 우울, 좌절, 불안과 같은 정서적 고통을

경험하게 된다. 이러한 정서적 고통이 심할 경우에는 회복에도 심각한 향을 미

치게 된다(Feibel & Springer, 1982). 따라서 뇌졸중 발병 후 환자의 일상생활동작

의 능력을 평가하고 수행하는 일은 환자의 재활목표 달성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

Page 20: ± º 1 C : WD ` ¿ À n 2 L ¤ 2X û ï > ÑÑ Â (D 0I ³ · 2019-06-28 · U 8 û ¹ 8 i ä î ± a Þ î Þ q ç ± & t F I ã À ( Ý ì 2 5 ý z ð ç ± ( ¶ ® û é è I

- 8 -

며, 환자의 독립적 생활을 위해서 가장 기본이 되는 것이다(Lorraine, 1996).

뇌졸중 후 대부분의 생존자들은 어느 정도의 신경학적인 회복을 경험하지만

약 30-60%의 환자는 일상생활동작 수행에 도움을 필요로 한다(Skilbeck 등,

1983). Wade 등(1985)은 뇌졸중 후 첫 1개월에 신경학적 회복은 대부분 진행되어

기능적인 회복은 6-12개월에 걸쳐 서서히 회복되지만 대부분의 기능적인 회복은

처음 3개월에 이루어진다고 보고하여 초기의 재활치료가 매우 중요함을 언급하

다. Haese 등(1980)은 뇌졸중 환자의 재활치료는 일상생활동작 평가에 의한 기능

회복에 초점을 두어야 하며, 일상생활동작의 독립적 수행은 치료에 긍정적인 효과

를 가져온다고 주장하 다. 그러므로 뇌졸중 환자의 기능 회복은 외부환경, 재활치

료의 유무, 환자의 의지력 등에 의해 향을 받으며, 환자가 기능적 장애에 대하여

수용하고 가족의 지지정도가 높을수록 예후가 좋다고 하 다(Anderson, 1990).

일상생활동작에 대한 평가의 기초는 Katz 등(1973)에 의해 마련되었다. 이들

이 개발한 초기의 일상생활동작 평가는 목욕, 옷입기, 화장실 이용, 자리 옮기기,

대소변 조절, 식사 등의 기본 일상생활동작만 포함되었다. 그 후 그들은 일상생활

동작 평가의 범위를 확대하여 자조활동, 기동성, 이동 등을 포함하 다. 일상생활

동작은 환경적인 요소의 반 여부에 따라 두 가지로 분류될 수 있다. Katz 등

(1963)은 이러한 특성에 따라 두 가지 형태의 일상생활동작으로 분류하 다. 첫째

는 운동성과 신경학적 측면을 반 하는 일상생활동작으로 생존에 관련되어 있으

며, 단순한 신체적 및 정신적 기능을 필요로 하는 자리이동, 대소변 조절, 먹기가

이에 해당한다. 둘째는 운동성과 신경학적 측면 외에 문화와 학습의 환경적 요소

를 반 하는 일상생활동작으로 생존에 관련이 적고 복합적인 능력을 필요로 한다.

목욕, 옷입기, 화장실 이용이 여기에 해당된다(Katz, 1963; Caradoc-Dixon, 1991).

재활분야에서 시행하는 프로그램의 성공여부는 프로그램 시행 전의 기능적 활동

상태와 프로그램의 시행에 따라 기능적 활동 상태가 얼마나 변하 는가에 달려있

다.

뇌졸중 환자의 기능회복에 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연령, 의식소실 기간, 동

반 질환, 뇌졸중의 기전, 뇌의 병소부위, 양측 뇌의 병변, 치매, 지속적인 환측의

무시, 대소변의 조절기능, 인지기능, 지속적인 이완성마비, 우울증, 사지부종 등으

Page 21: ± º 1 C : WD ` ¿ À n 2 L ¤ 2X û ï > ÑÑ Â (D 0I ³ · 2019-06-28 · U 8 û ¹ 8 i ä î ± a Þ î Þ q ç ± & t F I ã À ( Ý ì 2 5 ý z ð ç ± ( ¶ ® û é è I

- 9 -

로 보고 되었다(Henley 등, 1985; Kottke & Lehmann, 1990; 박병권 등, 1009). 이

에 따라 뇌졸중 환자의 일상생활동작 수행에 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면

Bourstom(1967)과 Lehmann 등(1975)은 환자의 연령, 뇌졸중 합병증, 가족협조의

결여가 독립적으로 일상생활동작을 수행하는 데 주요한 저해요인이 된다고 하

다. 김 희(1995)의 연구에서는 환자의 연령, 치료기간, 입원시까지의 병력기간, 전

경배경(figure-ground), 시각적 구별, 시각적 기억, 공간 관계(spatial relationship)

가 향을 미치는 요인들로 나타났다. 이러한 요인 중에서 시지각(visual

perception) 장애는 뇌졸중 후의 합병증으로 올 수 있다(Birch 등, 1960). 시각적

주시결함(visual scanning deficit)은 일상생활을 독립적으로 수행하는 데 어려움을

주며(Warren, 1990), 인지기능의 저하는 환자의 기능수준과 사회복귀에 향을 미

친다고 하면서 언어나 몸짓으로 가르쳐 주는 것을 따라 하지 못하거나 심한 기억

력 장애가 있는 경우 재활치료를 통해 신체적 장애를 극복하기 어렵다고 보고하

다(Delisa, 1988). 그러나 유은 (1997)의 연구에 의하면 인지지각 기능과 일상생

활동작 수행은 치료기간과 상관성을 보여 재활치료 시작시기와 지속적인 재활치

료가 필요하다고 제시하 다. 따라서 장기간에 걸쳐 일상생활동작을 독립적으로

수행하지 못할 경우 환자는 무력감과 우울에 빠지므로(Hopkins 등, 1993) 일상생

활동작 수행능력을 증진시키는 것을 장애자 재활의 목표달성에 그 기초가 되는

매우 중요한 과제이다(신정빈 등, 1987).

일반적으로 기능의 독립 정도를 측정하는 방법 중에 널이 쓰이는 것은 일상

생활동작을 평가하는 것이다(나은우 등, 1995). 이방훈과 이강목(1989)은 일상생활

동작 평가는 같은 대상자를 반복해서 측정했을 때 비슷한 결과가 나타나는 신뢰

성(reliability)과 수행 수준을 검사결과가 정확하게 반 해야 하는 타당성(validity)

의 조건을 갖추어야 한다고 강조하면서 특히 평가자는 평가의 타당성을 위해 평

가 대상자의 환경을 고려해야 하는데, 이것은 일상생활동작이 환경에 적응하는 능

력을 말하는 것(Spector 등, 1987)이기 때문이다. 환자의 일상생활동작 수준을 검

사하는 도구로는 Modified Barthel Index를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Granger

등(1976)은 『Modified Barthel Index』를 만들어 뇌졸중 환자의 평가에 이용한

결과 어느 주어진 시점에서 환자의 일상생활동작 수행을 객관적으로 편리하게 평

Page 22: ± º 1 C : WD ` ¿ À n 2 L ¤ 2X û ï > ÑÑ Â (D 0I ³ · 2019-06-28 · U 8 û ¹ 8 i ä î ± a Þ î Þ q ç ± & t F I ã À ( Ý ì 2 5 ý z ð ç ± ( ¶ ® û é è I

- 10 -

가할 수 있다고 보고하 다. 그리고 일상생활동작의 능력 평가에 있어 기능의 변

화에 민감하여 신뢰할 수 있는 평가방법이라고 하 다(Granger 등, 1979).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문적으로 관련이 있고 타당하며, 신뢰도가 양호한 평가

도구인 『Modified Barthel Index』를 사용하여 뇌졸중 후 편마비 환자의 일상생

활동작 수행을 평가하고자 한다.

3. 우울(depression)

우울은 사랑, 지위(status), 자아개념(self-concept)을 잃어버렸다고 생각하는데

서 나타났다고(유숙자, 1983) 하며 홍완호(1978)은 슬픈 감정의 정도가 심하고 오

래 계속되어 나타난 병적인 상태를 우울증이라고 하 으며 건강한 사회로부터의

소외감에 사로잡혀 때로는 자가간호에 대한 비협조 와 반항의식 또는 우울증 등

이 생긴다고 하 다(전산초, 1978).

우울의 형태를 분류해 보면 학자마다 차이는 있지만 내인성 우울(endogenous

depression) 또는 정신증적 우울(psychotic depression)과 반응성 우울(reactive

depression) 또는 신경증적 우울(neurotic depression)로 분류된다. 내인성 또는 정

신증적 우울은 안전이나 자부심이 환경에 의해 심각한 충격을 받거나 극도의 죄

의식이 활개침으로써 생겨난다. 또한 신경증적 우울 또는 반응적 우울은 어떤 외

적인 사건에 의해 반응하는 것으로 기질적 뇌증후군의 초기에 나타나는 신경증을

환자에게서 일어날 수 있는 경한 우울이다(유숙자, 1983).

신재신(1985)에 의하면 우울은 생리적 측면에서 볼 때 에너지, 흥미, 성욕의

감퇴, 자기신뢰의 감소, 체중감소, 장기능의 저하, 수면장애, circardian rhythm의

변화, corticosteroids의 분비증가, 활동의 변화, 기분의 변화, 특히 아침에 기분이

나빠지고, 두통, 흉통, 불안과 긴장을 느끼며 가끔 맥박, 혈압 및 땀이 증가하고 기

억력 저하, 혼동 및 자세와 안근의 활동의 변화를 비롯하여 자가간호 활동능력 저

하, 사회관계 저하, 자살기도 등의 변화를 볼 수 있다고 하 고, 또한 우울은 신체

적 질병, 배우자의 죽음, 경제사정의 악화, 가족 및 사회적 고립, 자가간호능력 저

Page 23: ± º 1 C : WD ` ¿ À n 2 L ¤ 2X û ï > ÑÑ Â (D 0I ³ · 2019-06-28 · U 8 û ¹ 8 i ä î ± a Þ î Þ q ç ± & t F I ã À ( Ý ì 2 5 ý z ð ç ± ( ¶ ® û é è I

- 11 -

하, 지난날의 회한 등으로 우울증 경향이 증가하여 불면증, 체중감소, 무력감, 강박

관념, 증오감 등의 구체적 증세를 나타낸다고 하 다(윤진, 1985).

4. 일상생활동작 수행과 우울

일상생활동작 수행과 우울과는 관련성이 없다고 하 고(이인구, 1988; Feibel

과 Springer, 1982; Starkstein 등, 1989; Morris 등, 1992), 강현숙(1984)과

Robinson 등(1986), Parikh 등(1990), Franco 등(1993)은 일상생활동작 수행정도와

우울에는 음의 상관관계가 있어 일상생활 수행정도가 높을수록 우울 정도가 낮게

된다고 보고하 다.

5. 가족지지와 우울

Feldman이 가까운 지지망 관계의 지지가 우울에 향을 미친다고 했으며

Vaughn and Leff은 사회적 지지의 주요구성원으로부터의 지지결핍은 우울의 재

발과 회복에 향을 주며 이때 배우자가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했다. 태 숙

(1978)의 암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도 지각한 가족지지가 높으면 높을수록

우울 정도는 낮게 된다고 보고하 다.

Page 24: ± º 1 C : WD ` ¿ À n 2 L ¤ 2X û ï > ÑÑ Â (D 0I ³ · 2019-06-28 · U 8 û ¹ 8 i ä î ± a Þ î Þ q ç ± & t F I ã À ( Ý ì 2 5 ý z ð ç ± ( ¶ ® û é è I

- 12 -

Ⅲ. 연구 방법

1. 연구의 틀

뇌졸중 후 편마비 환자의 일상생활동작 수행, 가족지지, 우울 정도와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한 연구모형은 아래의 <그림1>과 같다.

<그림 1 : 연구의 틀>

대상자의 특성을 살펴보면 일반적 특성으로는 성별, 연령, 직업, 결혼상태, 교

육수준, 종교이고, 질병관련 특성은 마비부위, 손상기간, 손상 후 모임 변화, 취

미․오락 변화이며, 가족관련 특성으로는 동거 가족수, 가족형태, 가족 방문횟수,

주간호자, 손상 전과 현재의 가족 부양자, 경제수준, 한달 평균수입, 치료비 부담자

로 하 다. 가족지지 정도는 정서적 지지, 정보적 지지, 물질적 지지, 평가적 지지

로 하 으며, 우울 정도는 정동적 우울, 생리적 우울, 심리적 우울로 분석하 다.

Page 25: ± º 1 C : WD ` ¿ À n 2 L ¤ 2X û ï > ÑÑ Â (D 0I ³ · 2019-06-28 · U 8 û ¹ 8 i ä î ± a Þ î Þ q ç ± & t F I ã À ( Ý ì 2 5 ý z ð ç ± ( ¶ ® û é è I

- 13 -

2. 용어의 정의

가. 편마비 환자

편마비는 여러 원인으로 올 수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뇌졸중 후 사지의 한쪽

이 마비된 환자로서 의식이 있고 의사소통이 가능하며, 입원 또는 외래에서 포괄

적 치료를 받고 있는 성인 환자를 말한다.

나. 일상생활동작(Activities of Daily Living : ADL)

일상생활동작이란 먹기, 입기, 대소변 처리하기, 기능적인 운동능력, 지역사회

로의 이동능력, 기능적인 의사소통 능력 등의 자기관리 능력을 말한다(AOTA,

1994). 본 연구에서는 일상생활동작의 정도는 재활치료를 받은 뇌졸중 후 편마비

환자를 대상으로 『Modified Barthel Index』(Granger등, 1979)를 최혜숙(1995)이

번역한 도구를 이용하여 측정한 점수로 나타낸다. 이 도구는 일상생활동작을 15가

지로 구분하여 각 동작마다 4단계의 점수로 측정한다.

다. 가족과 가족지지

1) 가족

․ 개념적 정의 : 가족은 둘 또는 그 이상의 개인이 함께 살면서 상호 인정한 역

할을 통해서 계속적으로 상호 작용하는 사회집단이다.

․ 조작적 정의 : 본 연구에서 가족이란 동거하는 가족구성원 혹은 적어도 1-2주

에 한번 이상은 연락(전화, 방문, 편지 등)을 하는 가족구성원들의 모임을 가족이

라 하 다.

2) 가족지지

․ 개념적 정의 : 개인이 환경에 적응하도록 돕는 환경적 자원으로 대인간의 상

호작용을 통해 개인에게 주어지는 정서적이며 실제적인 도움으로 지지적 행위의

속성은 크게 4범주로 분류할 수 있다.

Page 26: ± º 1 C : WD ` ¿ À n 2 L ¤ 2X û ï > ÑÑ Â (D 0I ³ · 2019-06-28 · U 8 û ¹ 8 i ä î ± a Þ î Þ q ç ± & t F I ã À ( Ý ì 2 5 ý z ð ç ± ( ¶ ® û é è I

- 14 -

⑴ 정서적 지지 : 격려, 이해, 축하, 병문안, 호감, 청취, 관심을 갖고 걱정함, 공

감대 형성, 사랑, 관심, 용기제공, 공동체 의식, 소속감, 동조, 신뢰감, 목사님

신방을 포함한 적 지지에 관한 것.

⑵ 정보적 지지 : 교육을 받을 수 있다는 것, 학식이 많은 사람과의 대화, 독서,

조언, 충고, 상담, 문제해결을 위한 정보, 지식습득, 특수 단체참여 등에 관한

것.

⑶ 물질적 지지 : 장학금, 퇴직금, 의료보험 혜택, 할인혜택, 등록금 부담 등 재

정적인 도움과 무료수술, 응급처치, 헌혈, 간호제공 등 의료적인 도움, 교통편

제공, 음식, 선물 등 물품을 통한 도움, 결혼식 준비 도움, 수해시 물퍼준 일

등 노동을 통한 도움에 관한 것.

⑷ 평가적 지지 : 고마움을 표현 받거나 상을 탈 때 등 칭찬과 믿고 일을 맡기

거나 의사결정권을 소유했거나, 학생 신분을 인정받았거나, 가족의 동의, 독립

된 인간으로 인정받는 등 인정에 관한 것, 그리고 눈에 보이는 결과를 얻거나

과업성취, 책임감, 자신감을 갖는 것, 혼자 올바른 일을 했을 때, 훈계, 실수

인정에 관한 것.

․ 조작적 정의 : 본 연구에서의 가족 지지는 정서적 지지, 정보적 지지, 물질적

지지, 평가적 지지를 포함하는 것으로써, 가족지지측정도구는 지각한 가족지지 정

도이고, 점수가 높을수록 가족지지가 높음을 의미한다.

라. 우울(depression)

우울은 사랑, 지위, 자아개념을 잃어버렸다고 생각하는데서 나타났다(유숙자외

5인, 「정신간호총론」1983)고 하며 홍완호(“우울증 빈도의 남녀대비에 관한 고찰”

신경정신의학, 1978)는 슬픈 감정의 정도가 심하고 오래 계속되어 나타난 병적인

상태를 우울증이라고 하 다.

Page 27: ± º 1 C : WD ` ¿ À n 2 L ¤ 2X û ï > ÑÑ Â (D 0I ³ · 2019-06-28 · U 8 û ¹ 8 i ä î ± a Þ î Þ q ç ± & t F I ã À ( Ý ì 2 5 ý z ð ç ± ( ¶ ® û é è I

- 15 -

3. 연구대상

본 연구는 강원도 원주시에 위치한 W종합병원에 입원 또는 외래에 내원하는

뇌졸중 후 편마비 환자 중 다음과 같은 기준 조건에 합당한 120명을 대상으로 실

시하 다.

본 연구에 참여하는 환자의 선정기준은 다음과 같다.

1. 연구에의 참여를 승낙한 환자

2. 연구자에 의해 또는 직접 질문지를 읽고 응답할 수 있으며, 의사소통이 가능하

다고 판단되어지는 환자

4. 자료수집 방법

본 설문지에 대한 사전조사는 조사내용을 예비확정한 후 2004년 3월 15일부

터 3월 26일까지 12일간 실시하 으며 본 조사는 2004년 3월 29일부터 4월 24일

까지 1개월 동안이었다. 연구자료수집은 준비된 설문지를 가지고 병원을 방문하여

연구자가 직접 면담 및 측정을 하 는데 연구 대상자에게는 이 연구의 취지 및

연구방법 등에 관하여 설명을 한 후 대상자가 직접 읽고 작성하도록 하여 자료를

수집하 다.

5. 연구도구

가. 일상생활동작 평가도구

본 연구에서는 뇌졸중 후 편마비 환자의 일상생활동작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Modified Barthel Index』(Granger등, 1979)를 최혜숙(1995)이 번역한 도구를 사

용하 다. Barthel Index Score는 자기관리 척도(self care subscore scale) 9항목,

이동성 척도(Mobility subscore scale) 6항목 등 총 15개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으

Page 28: ± º 1 C : WD ` ¿ À n 2 L ¤ 2X û ï > ÑÑ Â (D 0I ³ · 2019-06-28 · U 8 û ¹ 8 i ä î ± a Þ î Þ q ç ± & t F I ã À ( Ý ì 2 5 ý z ð ç ± ( ¶ ® û é è I

- 16 -

며, 각 항목마다 4단계의 점수를 주게 된다. 제 1단계는 다른 사람의 도움 없이 혼

자서 쉽게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Independent=Intact), 제 2단계는 다른 사람의 도

움은 필요 없으나 동작이 어렵게 수행되는 경우(Independent=Limited), 제 3단계는

다른 사람의 도움이 부분적으로 필요한 경우(dependent=helper), 제 4단계는 다른

사람의 도움에 완전히 의존하는 경우(dependent=null)로 구분하여 평가한다. 최대

점수는 100점이고 최소 점수는 0으로 분포되어 있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독립적임

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 이 도구를 적용한 결과 산출된 신뢰도는 Cronbach´s

Alpha=.9494이었다.(부록1 <표-1>)

나. 가족지지 측정도구

본 연구에서는 강현숙(1984)이 Cobb(1976)의 도구를 우리나라 실정에 맞게 수

정 보완한 『가족지지 측정도구』를 사용하 다. 이 도구의 내용은 사회적 지지란

대상자로 하여금 ①자신이 보살펴지고 사랑받고 있다는 것 ②존경과 존중을 받고

있다는 것 ③의사소통과 상호 책임의 조직망속의 일원이라는 것을 믿도록 이끄는

정보 중 하나 혹은 그 이상을 포함하는 정보라고 정의한 Cobb의 이론에 따라 이

를 토대로 최 희가 작성한 도구를 기반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본 측정도구는 5점

척도 11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척도는 “항상 그렇다” 5점에서 “전혀 그렇지

않다” 1점까지의 5점 평정척도로 이루어져 있으며, 점수의 범위는 최저 11점에서

최고 55점까지이다. 점수가 높을수록 가족지지 정도가 높은 것을 의미한다. 신뢰

도 검증은 개발당시 Cronbach´s Alpha=.89로 나타났으며 본 연구에서 이 도구를

적용한 결과 산출된 신뢰도는 Cronbach´s Alpha=.97로 나타났다.(부록1 <표-2>)

Crombach's α

가족지지 0.9794

정서적 지지 0.9622

정보적 지지 0.8950

물리적 지지 0.9168

평가적 지지 0.9503

Page 29: ± º 1 C : WD ` ¿ À n 2 L ¤ 2X û ï > ÑÑ Â (D 0I ³ · 2019-06-28 · U 8 û ¹ 8 i ä î ± a Þ î Þ q ç ± & t F I ã À ( Ý ì 2 5 ý z ð ç ± ( ¶ ® û é è I

- 17 -

다. 우울 정도 측정도구

본 연구에서는 Zung(1965)이 개발한 자가우울증평가표(self-rating depression

scale)로 환자의 우울 정도를 평가하 다. Zung의 자가우울증 평가표는

Grinker(1961), Overall(1962), 및 Friedman(1963)이 우울증의 인자분석을 통하여

추출한 공통적이고 특징적인 인자들을 20문항으로 작성한 척도로, 비교적 문항이

짧고 간단하며 단 시간내 조사대상자 자신이 기록할 수 있어, 집중력이 부족한 뇌

졸중 환자의 우울 정도 측정으로 적합하여 본 연구에 사용하 다. 평가 문항은 긍

정적인 문항과 부정적인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정동적 우울성향(pervasive

affect), 생리적 우울성향(physiological equivalents), 심리적 우울성향

(phychological equivalents)으로 역이 나누어져 있다.

정동적 우울성향은 우울증의 진단분류에서 우울, 슬픔 및 눈물을 보인다는 것

으로 검사문항으로는 “우울하거나 슬프다” 와 “갑자기 울고 싶거나 눈물이 난다”

의 2개 문항으로 최소 2점에서 최대 8점이다. 생리적 우울성향은 생리적인 변화로

인한 일간 기분변화, 불면, 식욕, 체중감소, 성욕감퇴 등의 장애와 변비, 빈맥, 그리

고 피곤함 등을 말한다. 검사문항으로는 “하루 중 아침이 가장 기분이 좋다” , “잠

을 설치거나 일찍 깬다”, “식욕이 있다”, “이성과 함께 있기를 좋아 한다”, “체중이

줄었다”, “변비가 있다”, “심장이 두근 거린다”, 그리고 “이유 없이 피곤하다” 등의

8개 문항으로 최소8점에서 최대32점이다. 심리적 우울성향은 정신운동성 활동의

장애로 정신운동성 지체와 격정, 혼란, 공허함, 절망, 우유부단, 가치손상, 자살우

려, 과민성, 그리고 불만족 등에 관한 문항을 말한다. 검사문항은 “머리가 맑다”,

“예전처럼 일처리 한다”, “안절부절 한다”, “장래가 희망적이다”, “예전보다 신경질

이 난다”, “결단력이 있다”, “사회에 필요한 사람이다”, “삶에 의의를 느낀다”, “죽

어야 남들이 편할 것 같다”, “전과 다름없이 만족하게 일한다” 등의 10문항으로

최소 10점에서 최대 40점이다.

본 연구에서 이 도구를 적용한 결과 산출된 신뢰도는 Cronbach´s Alpha=.82

로 나타났다.(부록1 <표-3>)

Page 30: ± º 1 C : WD ` ¿ À n 2 L ¤ 2X û ï > ÑÑ Â (D 0I ³ · 2019-06-28 · U 8 û ¹ 8 i ä î ± a Þ î Þ q ç ± & t F I ã À ( Ý ì 2 5 ý z ð ç ± ( ¶ ® û é è I

- 18 -

Crombach's α

우울 0.8267

정동적 우울 0.8114

생리적 우울 0.6653

심리적 우울 0.7296

6. 자료분석 방법

자료의 분석은 수집된 자료를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를 이용한 통계처리과정을 거쳐서 분석하 다.

1. 빈도, 평균, 표준편차를 통해 일상생활동작 수행, 가족지지, 우울의 현황을 알

아본다.

2. 회귀분석을 통해 일상생활동작 수행, 가족지지, 우울의 상관관계를 알아본다.

3. 독립 이표본 t 검정과 일요인 분산분석(ANOVA)을 통해 각각의 뇌졸중 후 편

마비 환자의 특성에 따른 일상생활동작 수행, 가족지지 및 우울 정도의 차이를 알

아본다.

통계학적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유의수준은 p<.05로 하 다.

Page 31: ± º 1 C : WD ` ¿ À n 2 L ¤ 2X û ï > ÑÑ Â (D 0I ³ · 2019-06-28 · U 8 û ¹ 8 i ä î ± a Þ î Þ q ç ± & t F I ã À ( Ý ì 2 5 ý z ð ç ± ( ¶ ® û é è I

- 19 -

Ⅳ. 연구 결과

1. 환자의 특성

가. 일반적 특성

본 연구의 대상인 뇌졸중 후 편마비 환자의 일반적 특성에 대한 분석결과는

<표 1>과 같다.

성별은 120명 중 남성이 67명(56.8%), 여성이 51명(43.2%)으로 남성이 더 많

았다. 연령별 분포는 50대가 49명(41.5%)으로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이 60대로 35

명(29.7%)이었으며, 40대가 23명(19.5%), 70대 이상이 9명(7.6%), 30대가 2명(1.7%)

등의 순서로 나타났다. 직업은 무직이 39명(32.8%)으로 가장 많았고, 주부가 19명

(16%), 농․축․수산업이 17(14.3%), 서비스업이 15명(12.6%), 단순노무직이 14명

(11.8%), 생산직이 8명(6 .7%), 사무직이 4명(3.4%)등의 순이었다.

결혼상태는 기혼이 69명(59%)으로 가장 많았으며, 사별이 32명(27.4%), 이혼

이 10명(8.5%), 별거가 5명(4.3%), 미혼이 1명(0.9%)으로 나타났다. 교육수준은 고

퇴/졸이 36명(30.3%)으로 가장 많았으며, 중퇴/졸은 30명(25.2%), 국퇴/졸은 27명

(22.7%), 무학은 20명(16.8%), 대퇴/졸 이상은 6명(5%)으로 나타났다. 종교는 무교

가 59명(49.6%)으로 가장 많았으며, 기독교가 27명(22.7%), 불교가 19명(16%), 카

톨릭교가 13명(10.9%)으로 나타났다.

Page 32: ± º 1 C : WD ` ¿ À n 2 L ¤ 2X û ï > ÑÑ Â (D 0I ³ · 2019-06-28 · U 8 û ¹ 8 i ä î ± a Þ î Þ q ç ± & t F I ã À ( Ý ì 2 5 ý z ð ç ± ( ¶ ® û é è I

- 20 -

<표 1> 일반적 특성

특 성 구 분 대상자 수(명) 비 율(%)

환자구분외 래 60 50.0

입 원 60 50.0

성 별

남 성 67 56.8

여 성 51 43.2

결 측 값 2

연 령

3 0 대 2 1.7

4 0 대 23 19.5

5 0 대 49 41.5

6 0 대 35 29.7

7 0 대 이 상 9 7.6

결 측 값 2

직 업

관 리 직 1 0.8

기 타 전 문 직 1 0.8

사 무 직 4 3.4

서 비 스 업 15 12.6

농․축․수산업 17 14.3

생 산 직 8 6.7

단 순 노 무 직 14 11.8

주 부 19 16.0

무 직 39 32.8

기 타 1 0.8

결 측 값 1

결 혼 상 태

미 혼 1 0.9

기 혼 69 59.0

별 거 5 4.3

이 혼 10 8.5

사 별 32 27.4

결 측 값 3

교 육 수 준

무 학 20 16.8

국 퇴 / 졸 27 22.7

중 퇴 / 졸 30 25.2

고 퇴 / 졸 36 30.3

대 퇴 / 졸 이 상 06 5.0

결 측 값 1

종 교

무 교 59 49.6

기 독 교 27 22.7

불 교 19 16.0

카 톨 릭 13 10.9

기 타 1 0.8

결 측 값 1

합 계 120 100

Page 33: ± º 1 C : WD ` ¿ À n 2 L ¤ 2X û ï > ÑÑ Â (D 0I ³ · 2019-06-28 · U 8 û ¹ 8 i ä î ± a Þ î Þ q ç ± & t F I ã À ( Ý ì 2 5 ý z ð ç ± ( ¶ ® û é è I

- 21 -

나. 질병관련 특성

본 연구의 대상인 뇌졸중 후 편마비 환자의 질병관련 특성에 대한 분석결과

는 <표 2>와 같다.

마비부위는 오른쪽이 67명(55.8%), 왼쪽이 53명(44.2%)으로 오른쪽이 더 많았

다. 손상기간은 6개월 이내가 35명(29.2%)으로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이 1년 이내

로 30명(25%)이었으며, 3개월 이내가 27명(22.5%), 2년 이상이 17명(14.2%), 2년

이내가 11명(9.2%)등의 순서로 나타났다. 보조기는 지팡이가 33명(29.2%)으로 가

장 많았고, 바퀴의자와 보조기 사용안함이 27명(23.9%), 보조기와 바퀴의자가 16명

(14.2%), 목발이 5명(4.4%)으로 목발과 바퀴의자를 사용하는 것과 똑같이 나타났

다. 손상 후 모임변화는 예가 84명(82.4%), 아니오가 18명(17.6%)으로, 손상 후 취

미, 오락 변화는 예가 68명(73.1%), 아니오가 25명(26.9%)으로 예가 더 많았다.

<표 2> 질병관련 특성

특 성 구 분 대상자 수(명) 비 율(%)

마 비 부 위왼 쪽 53 44.2

오 른 쪽 67 55.8

손 상 기 간

3 개 월 이 내 27 22.5

6 개 월 이 내 35 29.2

1 년 이 내 30 25.0

2 년 이 내 11 9.2

2 년 이 상 17 14.2

보 조 기

바 퀴 의 자 27 23.9

목 발 5 4.4

지 팡 이 33 29.2

보 조 기 와바 퀴 의 자 16 14.2

목 발 과 바 퀴 의 자 5 4.4

보 조 기 사 용 안 함 27 23.9

결 측 값 7

손 상 후

모 임 변 화

예 84 82.4

아 니 오 18 17.6

결 측 값 18

손 상 후취 미, 오 락변 화

예 68 73.1

아 니 오 25 26.9

결 측 값 27

합 계 120 100

Page 34: ± º 1 C : WD ` ¿ À n 2 L ¤ 2X û ï > ÑÑ Â (D 0I ³ · 2019-06-28 · U 8 û ¹ 8 i ä î ± a Þ î Þ q ç ± & t F I ã À ( Ý ì 2 5 ý z ð ç ± ( ¶ ® û é è I

- 22 -

다. 가족관련 특성

본 연구의 대상인 뇌졸중 후 편마비 환자의 가족관련 특성에 대한 분석결과

는 <표 3>과 같다.

동거 가족수는 1명이 37명(33%)으로 가장 많았으며, 2명이 27명(24.1%), 4명

이상이 26명(23.2%), 3명이 22명(19.6%)으로 나타났다. 가족형태는 기혼자녀와 산

다가 37명(30.8%)으로 가장 많았으며, 부부만 산다가 34명(28.3%), 미혼자녀와 산

다가 30명(25%), 혼자 산다가 10명(8.3%)으로 나타났다. 가족방문횟수는 한달에

한번이상이 17명(56.7%), 한달에 두 번이상이 8명(26.7%), 매주1회 이상이 5명

(16.7%), 결측값이 90명으로 나타났다.

주간호자는 배우자가 57명(48.3%)으로 가장 많았으며, 아들. 며느리 .딸은 13

명(11%), 간병인이 11명(9.3%), 친척이 6명(5.1%), 기타가 5명(4.2%)으로 나타났다.

손상 전 가족 부양자는 본인이 71명(59.7%)으로 가장 많았으며, 배우자가 26명

(21.8%), 자녀가 19명(16%), 기타가 3명(2.5%)으로 나타났다. 손상 후 가족 부양자

는 자녀가 51명(42.5%)으로 가장 많았으며, 배우자가 40명(33.3%), 본인이 17명

(14.2%), 기타가 12명(10%)으로 나타났다.

경제수준은 중이 39명(33.1%)으로 가장 많았으며, 중․하가 32명(27.1%), 하가

30명(25.4%), 중․상이 17명(14.4%)으로 나타났다. 한달 평균수입은 100-199만원

이 40명(33.6%)으로 가장 많았으며, 200-299만원이 34명(28.6%), 99만원 이하가 28

명(23.5%), 300만원 이상이 17명(14.3%)으로 나타났다. 치료비 부담자는 자녀가

50명(43.1%)으로 가장 많았으며, 배우자가 38명(32.8%), 기타가 17명(14.7%), 본인

이 11명(9.5%)으로 나타났다.

Page 35: ± º 1 C : WD ` ¿ À n 2 L ¤ 2X û ï > ÑÑ Â (D 0I ³ · 2019-06-28 · U 8 û ¹ 8 i ä î ± a Þ î Þ q ç ± & t F I ã À ( Ý ì 2 5 ý z ð ç ± ( ¶ ® û é è I

- 23 -

<표 3> 가족관련 특성특 성 구 분 대상자 수(명) 비 율(%)

동 거

가 족 수

1명 37 33.0

2명 27 24.1

3명 22 19.6

4 명 이 상 26 23.2

결 측 값 8

가 족 형 태

혼 자 산 다 10 8.3

부 부 만 산 다 34 28.3

미 혼 자 녀 와 산 다 30 25.0

기 혼 자 녀 와 산 다 37 30.8

기 타 9 7.5

가 족

방 문 횟 수

매 주 1 회 이 상 5 16.7

한 달 에 한 번 이 상 17 56.7

한 달 에 두 번 이 상 8 26.7

결 측 값 90

주 간 호 자

배 우 자 57 48.3

아 들 13 11.0

며 느 리 13 11.0

딸 13 11.0

친 척 6 5.1

간 병 인 11 9.3

기 타 5 4.2

결 측 값 2

손 상 전

가 족

부 양 자

본 인 71 59.7

배 우 자 26 21.8

자 녀 19 16.0

기 타 3 2.5

결 측 값 1

손 상 후

가 족

부 양 자

본 인 17 14.2

배 우 자 40 33.3

자 녀 51 42.5

기 타 12 10.0

경 제 수 준

하 30 25.4

중․하 32 27.1

중 39 33.1

중․상 17 14.4

결 측 값 2

한 달

평 균 수 입

99 만 원 이 하 28 23.5

100만 ∼ 199만원 40 33.6

200만 ∼ 299만원 34 28.6

300 만 원 이 상 17 14.3

결 측 값 1

치 료 비

부 담 자

본 인 11 9.5

배 우 자 38 32.8

자 녀 50 43.1

기 타 17 14.7

결 측 값 4

합 계 120 100

Page 36: ± º 1 C : WD ` ¿ À n 2 L ¤ 2X û ï > ÑÑ Â (D 0I ³ · 2019-06-28 · U 8 û ¹ 8 i ä î ± a Þ î Þ q ç ± & t F I ã À ( Ý ì 2 5 ý z ð ç ± ( ¶ ® û é è I

- 24 -

2. 일상생활동작 수행, 가족지지, 우울 및 상관관계분석

가. 현황

1) 환자의 일상생활동작 수행정도

본 연구의 대상인 뇌졸중 후 편마비 환자의 일상생활동작 수행정도에 대한

분석결과는 <표 4>, <그림 2>와 같다.

일상생활수행 평가도구는 15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각 항목마다 4단계의 점

수로 측정하 다. 일상생활동작 수행정도의 총 평점은 2.64로 나타났다. 이는 대

부분의 환자들이 수행능력에 있어 도움을 필요로 하는 수준임을 나타낸다. 15문

항 중 혼자서 쉽게 수행 할 수 있는 항목은 “보조기를 사용할 수 있다”가 평균

3.67 이었고, “면도. 화장. 머리손질을 할 수 있다”가 평균 3.05 이었고, “소변을 가

릴 수 있다”가 평균 2.86 이었고, “대변을 가릴 수 있다”가 평균 2.84로 나타났으

며, 다른 사람의 도움이 없이는 할 수 없는 항목은 “목욕탕 속을 자유롭게 드나들

수 있다”가 평균 1.86 이었고, “계단을 5개 정도 오르내릴 수 있다”가 평균 2.08이

었다.

Page 37: ± º 1 C : WD ` ¿ À n 2 L ¤ 2X û ï > ÑÑ Â (D 0I ³ · 2019-06-28 · U 8 û ¹ 8 i ä î ± a Þ î Þ q ç ± & t F I ã À ( Ý ì 2 5 ý z ð ç ± ( ¶ ® û é è I

- 25 -

<그림 2> 일상생활동작 수행정도 평균

수행평균

3.63

3.06

2.48

1.91

1.33

20

10

0

표준편차 = .71

평균= 2.64

N = 120.00

<표 4> 환자의 일상생활동작 수행정도

일 상 생 활 수 행 정 도 평 균 표 준 편 차

1 : 물을 마시거나 식사를 할 수 있습니까? 2.62 0.90

2 : 웃옷을 입을 수 있습니까? 2.59 0.92

3 : 바지를 입을 수 있습니까? 2.68 0.94

4 : 보조기를 사용하십니까? 3.67 0.92

5 : 남 - 면도를 할 수 있습니까? 여 - 화장, 머리손질을 할 수 있습니까? 3.05 0.95

6 : 세수, 목욕을 할 수 있습니까? 2.51 0.93

7 : 소변을 가릴 수 있습니까? 2.86 0.87

8 : 대변을 가릴 수 있습니까? 2.84 0.88

9 : 대, 소변 후 뒤처리를 할 수 있습니까? 2.34 0.94

10 : 의자에서 일어나고 앉는 것을 자유롭게 할 수 있습니까? 2.35 0.83

11 : 화장실 출입을 할 수 있습니까? 2.22 0.84

12 : 목욕탕 속을 자유롭게 드나들 수 있습니까? 1.86 0.81

13 : 50보 이상을 걸을 수 있습니까? 2.11 0.90

14 : 계단을 5개 정도 오르내릴 수 있습니까? 2.08 0.94

15 : 걸을 수 없는 경우 휠체어를 사용할 수 있습니까? 3.04 1.26

총 평 점 2.64

Page 38: ± º 1 C : WD ` ¿ À n 2 L ¤ 2X û ï > ÑÑ Â (D 0I ³ · 2019-06-28 · U 8 û ¹ 8 i ä î ± a Þ î Þ q ç ± & t F I ã À ( Ý ì 2 5 ý z ð ç ± ( ¶ ® û é è I

- 26 -

2. 환자의 가족지지 정도

본 연구의 대상인 뇌졸중 후 편마비 환자의 가족지지 정도에 대한 분석결과

는 <표 5>, <그림 3>과 같다.

가족지지 정도는 5점 척도 11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항상 그렇다” 5점, “전

혀 그렇지 않다” 1점으로 측정하 다. 가족지지 정도의 총 평점은 4.23으로 나타났

다. 가장 점수가 높은 문항은 부정항문이었던 “가족은 나를 귀찮은 존재로 생각

한다”로 평균 4.53 이었으며, 그 다음이 “가족은 경제적인 이유로 나를 부담스러워

한다” 로 평균이 4.51 이었고 가장 점수가 낮은 문항은 “가족은 내가 지루하지 않

도록 많은 이야기를 해 준다”로 평균이 4.08이었으며, 그 다음이 “가족은 나의 의

견을 존중해 준다” 로 평균이 4.17 이었다.

물질적 지지는 3문항으로 평균 4.41 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정서적 지지

가 평균 4.39 로, 평가적 지지가 평균 4.23 으로, 정보적 지지가 평균 4.21 로 나타

났다. 그림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대부분의 환자들이 가족지지를 받고 있는 편향

된 그래프를 볼 수 있다. 이는 환자 대부분들이 가족지지도가 높다는 것을 의미하

며, 따라서 가족지지도는 향요인 변수로 활용하기는 어렵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각각의 지지도에 대한 분포를 그림으로 표시하면 <그림 4>부터 <그림

7>과 같다.

Page 39: ± º 1 C : WD ` ¿ À n 2 L ¤ 2X û ï > ÑÑ Â (D 0I ³ · 2019-06-28 · U 8 û ¹ 8 i ä î ± a Þ î Þ q ç ± & t F I ã À ( Ý ì 2 5 ý z ð ç ± ( ¶ ® û é è I

- 27 -

<그림 3> 가족지지 전체 평균

지지평균

4.91

4.49

4.06

3.64

3.21

2.79

2.36

1.94

1.51

1.09

70

60

50

40

30

20

10

0

표준편차 = .99

평균= 4.23

N = 120.00

<표 5> 가족지지 정도

가 족 지 지 정 도 평 균 표준편차

정서적

지지

1 : 가족은 나에게 회복될 수 있다고 용기와 격려를 준다 4.26 1.07

2 : 가족은 나를 아끼고 사랑한다. 4.30 1.05

3 : 나는 나의 가족을 믿고 의지 할 수 있다. 4.24 1.13

* 4 : 가족은 나를 귀찮은 존재로 생각한다. 4.53 .92

평 균 4.30

정보적

지지

5 : 가족은 내가 지루하지 않도록 많은 이야기를 해준다. 4.08 1.24

6 : 가족은 내가 외로워하거나 괴로워할 때 보고 싶은 사람을 만날 수 있도록 도와준다.

4.24 1.03

평 균 4.16

물질적

지지

7 : 가족은 내가 불편하지 않도록 도와준다. 4.33 1.01

* 8 : 가족은 경제적인 이유로 나를 부담스러워 한다. 4.51 .86

9 : 가족은 나에게 헌신적인 도움을 준다. 4.27 1.02

평 균 4.34

평가적

지지

10 : 가족은 나의 의견을 존중해 준다. 4.17 1.08

11 : 가족은 나와 집안일을 의논한다. 4.21 1.06

평 균 4.17

총 평 점 4.23

* : 부정문항

Page 40: ± º 1 C : WD ` ¿ À n 2 L ¤ 2X û ï > ÑÑ Â (D 0I ³ · 2019-06-28 · U 8 û ¹ 8 i ä î ± a Þ î Þ q ç ± & t F I ã À ( Ý ì 2 5 ý z ð ç ± ( ¶ ® û é è I

- 28 -

<그림 4> 정서적 지지 평균 <그림 5> 정보적 지지 평균

정서평균

5.00

4.50

4.00

3.50

3.00

2.50

2.00

1.50

1.00

80

60

40

20

0

표준편차 = 1.02

평균= 4.30

N = 120.00

정보평균

5.00

4.50

4.00

3.50

3.00

2.50

2.00

1.50

1.00

70

60

50

40

30

20

10

0

표준편차 = 1.09

평균= 4.16

N = 119.00

<그림 6> 물질적 지지 평균 <그림 7> 평가적 지지 평균

물질평균

5.00

4.50

4.00

3.50

3.00

2.50

2.00

1.50

1.00

70

60

50

40

30

20

10

0

표준편차 = .94

평균= 4.34

N = 120.00

평가평균

5.00

4.50

4.00

3.50

3.00

2.50

2.00

1.50

1.00

70

60

50

40

30

20

10

0

표준편차 = 1.06

평균= 4.17

N = 117.00

Page 41: ± º 1 C : WD ` ¿ À n 2 L ¤ 2X û ï > ÑÑ Â (D 0I ³ · 2019-06-28 · U 8 û ¹ 8 i ä î ± a Þ î Þ q ç ± & t F I ã À ( Ý ì 2 5 ý z ð ç ± ( ¶ ® û é è I

- 29 -

3. 환자의 우울정도

본 연구의 대상인 뇌졸중 후 편마비 환자의 우울 정도에 대한 분석결과는

<표 6>, <그림 8>과 같다.

뇌졸중 후 편마비 환자의 우울 정도는 4점 척도 20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아니다” 4점, “거의 항상 그렇다” 1점으로 측정하 다. 우울 정도의 총 평점은

2.74로 나타났다. 이것은 점수가 높을수록 우울 정도가 낮은 것을 나타내므로 대

부분의 환자가 우울을 느끼는 것을 나타낸다. 가장 점수가 높은 문항은 “나는 안

절부절하며 진정할 수가 없다”로 평균 3.92 이었으며, 그 다음이 “나는 심장이 두

근거린다” 로 평균 3.91이었고, 가장 점수가 낮은 문항은 “나는 어떤 일이든 예전

처럼 쉽게 처리한다”로 평균 1.53이었으며, 그 다음이 부정문항인 “나는 매사에 결

단력이 있다고 생각한다”로 평균이 1.58이었다.

정동적 우울은 평균 3.17, 생리적 우울은 2.87, 심리적 우울은 2.20을 받았고

평균점수를 비교해 본 결과 정동적 우울이 가장 높게 나타나서 정동적 우울의 정

도가 가장 덜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반면에 심리적 우울의 경우는 가장 낮게 나타

나서 우울 정도 중에서 심리적 우울이 가장 큰 우울 정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분

석되었다.

한편 각각의 우울 정도에 대한 분포를 그림으로 표시하면 <그림 9>부터 <그

림 11>과 같다.

Page 42: ± º 1 C : WD ` ¿ À n 2 L ¤ 2X û ï > ÑÑ Â (D 0I ³ · 2019-06-28 · U 8 û ¹ 8 i ä î ± a Þ î Þ q ç ± & t F I ã À ( Ý ì 2 5 ý z ð ç ± ( ¶ ® û é è I

- 30 -

<그림 8> 우울 전체 평균

우울평균

3.22

2.90

2.57

2.25

1.92

20

10

0

표준편차 = .39

평균= 2.74

N = 118.00

<표 6> 환자가 느끼는 우울정도

우 울 정 도 평 균 표준편차

정동적

우울

1 : 나는 의욕이 없고, 우울하거나 슬프다. 3.25 0.83 2 : 나는 갑자기 울고 싶거나 눈물이 난다. 3.09 0.87 평 균 3.17

생리적

우울

* 3 : 나는 하루 중 아침이 가장 기분이 좋다. 1.70 0.66 4 : 나는 밤에 잠을 설치거나 아침에 일찍 깬다. 3.05 0.81 * 5 : 나는 전과 다름없이 식욕이 있다. 3.02 0.80 * 6 : 나는 이성과 이야기하고 함께 있기를 좋아한다. 1.80 0.78 7 : 나는 체중이 준 것 같다. 3.38 0.72 8 : 나는 변비가 있다. 3.19 0.88 9 : 나는 심장이 두근거린다. 3.91 0.29 10 : 나는 별 이유없이 몸이 나른하고 피곤하다. 2.91 0.85 평 균 2.87

심리적

우울

*11 : 내 머리가 한결같이 맑다. 1.96 0.66 *12 : 나는 어떤 일이든 예전처럼 쉽게 처리한다. 1.53 0.65 13 : 나는 안절부절하며 진정할 수가 없다. 3.92 0.28 *14 : 나의 장래는 희망적이라고 생각한다. 1.76 0.70 15 : 나는 예전보다 더 신경질(짜증)이 난다. 2.66 0.72 *16 : 나는 매사에 결단력이 있다고 생각한다. 1.58 0.63 *17 : 나는 사회에 유익하고 필요한 사람이라고 생각한다. 1.69 0.59 *18 : 나는 삶에 의의를 느낀다. 1.74 0.66 19 : 내가 죽어야 남들이 편할 것 같다. 3.24 0.91 *20 : 나는 전과 다름없이 만족하게 일한다. 1.82 0.66 평 균 2.20

총 평 점 2.74

* : 부정문항

Page 43: ± º 1 C : WD ` ¿ À n 2 L ¤ 2X û ï > ÑÑ Â (D 0I ³ · 2019-06-28 · U 8 û ¹ 8 i ä î ± a Þ î Þ q ç ± & t F I ã À ( Ý ì 2 5 ý z ð ç ± ( ¶ ® û é è I

- 31 -

<그림 9> 정동적 우울 평균 <그림 10> 생리적 우울 평균

정동평균

4.003.503.002.502.001.50

50

40

30

20

10

0

표준편차 = .78

평균= 3.17

N = 118.00

생리평균

3.753.503.253.002.752.502.252.00

40

30

20

10

0

표준편차 = .33

평균= 2.87

N = 116.00

<그림 11> 심리적 우울 평균

심리평균

3.253.002.752.502.252.001.751.50

40

30

20

10

0

표준편차 = .36

평균= 2.20

N = 116.00

Page 44: ± º 1 C : WD ` ¿ À n 2 L ¤ 2X û ï > ÑÑ Â (D 0I ³ · 2019-06-28 · U 8 û ¹ 8 i ä î ± a Þ î Þ q ç ± & t F I ã À ( Ý ì 2 5 ý z ð ç ± ( ¶ ® û é è I

- 32 -

나. 환자의 일상생활동작 수행, 가족지지, 우울의 상관관계

본 연구의 대상인 뇌졸중 후 편마비 환자의 가족지지, 일상생활동작 수행, 우

울정도에 대한 분석결과는 <표 7>과 같다.

상관분석을 실시해 본 결과 일상생활 수행능력과 가족지지도는 유의확률이

0.421로 서로 상관관계가 없음을 보이고 있는 반면에 일상생활 수행능력은 환자의

우울정도와 유의수준 0.01 하에서 유의적인 값을 가지고 있으며, 또한 가족지지도

의 경우도 환자의 우울정도와 유의수준 0.01 하에서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분

석되었다. 여기서 우울의 값의 의미는 점수가 높을수록 우울의 정도가 낮은 것을

의미하므로 사실로 보면 일상생활동작 수행 및 가족지지는 우울 정도와 음의 상

관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7> 환자의 가족지지, 일상생활동작 수행, 우울과의 상관관계

구 분 환자의 우울정도 일상생활 수행능력 가족지지도

상관계수

(유의확률)

환자의 우울정도 1.000

일상생활 수행능력 0.36***

1.000

가족지지도 0.668*** 0.038 1.000

*p<.05 **p<.01 ***p<.001

Page 45: ± º 1 C : WD ` ¿ À n 2 L ¤ 2X û ï > ÑÑ Â (D 0I ³ · 2019-06-28 · U 8 û ¹ 8 i ä î ± a Þ î Þ q ç ± & t F I ã À ( Ý ì 2 5 ý z ð ç ± ( ¶ ® û é è I

- 33 -

3. 일상생활동작수행, 가족지지, 우울과 환자의 특성간의 관계

가. 환자의 특성에 따른 일상생활동작 수행정도의 차이

1)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일상생활동작 수행정도

본 연구의 대상인 뇌졸중 후 편마비 환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일상생활동

작 수행정도에 미치는 향의 분석결과는 <표 8>과 같다.

일상생활동작 수행능력이 환자구분, 성별, 직업의 유무, 종교에는 통계학적으

로 유의하지 않았지만, 연령, 결혼상태, 교육수준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연령

에 따른 일상생활동작 수행은 40대 이하에서 수행능력이 높고, 50대, 60대 이상에

서 수행능력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혼상태에 따른 일상생활동작 수행은 배우

자가 있는 경우에서 수행능력이 높고, 배우자가 없는 경우에서는 낮은 것으로 나

타났다. 교육수준에 따른 일상생활동작 수행은 고퇴/졸 이상인 경우에서 수행능력

이 높고, 국퇴/졸 이하인 경우에 수행능력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표 8>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일상생활동작 수행정도

특 성 구 분 대상자 수(명)일상생활동작 수행 평균값

표 준 편 차 T 또는 F 검정값

환자구분외래 57 4.20 0.87

-1.279입원 56 4.42 0.93

성 별남성 67 2.59 0.66

-0.614여성 51 2.67 0.77

연 령

40대 이하 25 4.41 0.21

8.707***5 0 대 49 4.18 0.16

60대 이상 44 4.18 0.13

직업의 유무없 다 58 4.20 1.01

1.780있 다 61 4.27 0.99

결혼 상태무배우자 48 3.82 1.19

-3.845***

유배우자 69 4.57 0.64

교육수준

국퇴/졸이하 47 2.38 0.65

5.753***

중퇴졸 30 2.78 0.70

고퇴/졸이상 42 2.86 0.77

종교의 유무있 다 60 4.37 0.89

1.261없 다 59 4.10 1.09

총 평 점 3.90

*p<.05 **p<.01 ***p<.001

Page 46: ± º 1 C : WD ` ¿ À n 2 L ¤ 2X û ï > ÑÑ Â (D 0I ³ · 2019-06-28 · U 8 û ¹ 8 i ä î ± a Þ î Þ q ç ± & t F I ã À ( Ý ì 2 5 ý z ð ç ± ( ¶ ® û é è I

- 34 -

2) 질병관련 특성에 따른 일상생활동작 수행정도

본 연구의 대상인 뇌졸중 후 편마비 환자의 질병관련 특성에 따른 일상생활

동작 수행정도에 미치는 향의 분석결과는 <표 9>와 같다.

일상생활동작 수행능력이 마비부위, 손상기간에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 않

았지만, 보조기의 종류, 손상 후 모임변화, 손상 후 취미와 오락변화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보조기에 따른 일상생활동작 수행은 보조기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에 수행능력이 높게 나타났으며, 바퀴의자를 사용하는 경우에 수행능력이 낮은 것

으로 나타났다. 손상 후 모임, 취미, 오락변화에서 변화가 없는 경우에 일상생활동

작 수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일상생활동작 수행능력이 높음으로 해서

손상 후 모임, 취미, 오락의 변화가 없을 수 있으므로 큰 의미는 있다고 볼 수 없

다.

<표 9> 질병관련 특성에 따른 일상생활동작 수행정도

특 성 구 분대상자

수(명)일상생활동작수행의 평균값 표준편차

T 또는 F

검정값

마비된 부위왼쪽 53 2.57 0.70

-0.879오른쪽 67 2.69 0.73

손상기간

3개월이내 27 2.70 0.74

2.1366개월이내 35 2.43 0.80

6개월이상 58 2.74 0.63

보조기

바퀴의자 27 2.22 0.51

11.009***목발과 바퀴의자 33 2.77 0.58

지팡이 26 2.46 0.79사용안함 27 3.15 0.62

손상 후모임변화

예 84 2.51 0.72-2.005**

아니오 18 2.89 0.79

손상 후취미, 오락변화

예 68 2.49 0.70-2.566**

아니오 25 2.91 0.69

총 평 점 2.64

*p<.05 **p<.01 ***p<.001

Page 47: ± º 1 C : WD ` ¿ À n 2 L ¤ 2X û ï > ÑÑ Â (D 0I ³ · 2019-06-28 · U 8 û ¹ 8 i ä î ± a Þ î Þ q ç ± & t F I ã À ( Ý ì 2 5 ý z ð ç ± ( ¶ ® û é è I

- 35 -

3) 가족관련 특성에 따른 일상생활동작 수행정도

본 연구의 대상인 뇌졸중 후 편마비 환자의 가족관련 특성에 따른 일상생활

동작 수행정도에 미치는 향의 분석결과는 <표 10>과 같다.

일상생활동작 수행능력이 동거 가족수, 주간호자, 가족형태, 경제 수준, 한달

평균 수입에서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지만, 손상 전․후 가족 부양자, 치료

비 부담자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손상 전․후 가족 부양자, 치료비 부담자에

따른 일상생활동작 수행은 본인, 배우자, 자녀의 순으로 수행능력이 높게 나타났

다. 이상의 것은 대부분이 본인이나 배우자에 의한 경우에는 수행능력이 높은 것

을 볼 수 있으며 자녀의 경우에는 수행능력이 낮은 것을 볼 수 있다.

<표 10> 가족관련 특성에 따른 일상생활동작 수행정도

특 성 구 분 대상자 수(명)

일상생활동작수행의평균값

표 준 편 차 T 또는 F 검정값

동거 가족수1명 37 2.76 0.77

1.0162명 27 2.53 0.873명이상 48 2.57 0.57

주 간호자배우자 57 2.66 0.74

0.087자녀 39 2.61 0.66친척 및 간병인 22 2.59 0.79

가족 형태혼자산다 10 2.77 0.84

0.205부부만 산다 34 2.65 0.77자녀와 산다 67 2.61 0.69

손 상 전

가족 부양자

본인 71 2.76 0.664.757**배우자 26 2.64 0.78

자녀 19 2.21 0.67

손 상 후

가족 부양자

본인 17 3.24 0.587.805

***배우자 40 2.60 0.70자녀 51 2.50 0.68

경제 수준중이하 62 2.64 0.67

0.012중이상 56 2.64 0.74

한달 평균 수입199만원이하 68 2.63 0.69

-0.193200만원이상 51 2.66 0.74

치료비 부담자본인 11 3.32 0.61

6.075***배우자 38 2.62 0.71

자녀 50 2.52 0.69

총 평 점 2.65

*p<.05 **p<.01 ***p<.001

Page 48: ± º 1 C : WD ` ¿ À n 2 L ¤ 2X û ï > ÑÑ Â (D 0I ³ · 2019-06-28 · U 8 û ¹ 8 i ä î ± a Þ î Þ q ç ± & t F I ã À ( Ý ì 2 5 ý z ð ç ± ( ¶ ® û é è I

- 36 -

나. 환자의 특성에 따른 가족지지 정도의 차이

1)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가족지지 정도

본 연구의 대상인 뇌졸중 후 편마비 환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가족지지 정

도에 대한 분석결과는 <표 11>과 같다.

뇌졸중 후 편마비 환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가족지지 정도는 결혼상태에만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 으며, 환자구분, 성별, 연령, 직업의 유무, 교육수

준, 종교의 유무에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혼상태에 있어서는 배우자가

있는 경우에 가족지지 정도가 높고, 배우자가 없는 경우에 낮게 나타났다.

<표 11>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가족지지 정도

특 성 구 분 대상자 수(명)가족지지의 평균값 표 준 편 차 T 또는 F

검정값

환자구분외래 57 4.20 0.87

-1.279입원 56 4.42 0.93

성 별남성 67 4.10 1.07

-1.599여성 51 4.40 0.88

연 령40대 이하 25 4.41 0.21

0.5235 0 대 49 4.18 0.1660대 이상 44 4.18 0.13

직업의 유무없 다 58 4.20 1.01

-0.403있 다 61 4.27 0.99

결혼 상태무배우자 48 3.82 1.19

-4.410***

유배우자 69 4.57 0.64

교육수준국퇴/졸이하 47 4.12 0.92

0.720중퇴졸 30 4.23 1.20고퇴/졸이상 42 4.37 0.93

종교의 유무있 다 60 4.37 0.89

1.442없 다 59 4.10 1.09

총 평 점 4.23

*p<.05 **p<.01 ***p<.001

Page 49: ± º 1 C : WD ` ¿ À n 2 L ¤ 2X û ï > ÑÑ Â (D 0I ³ · 2019-06-28 · U 8 û ¹ 8 i ä î ± a Þ î Þ q ç ± & t F I ã À ( Ý ì 2 5 ý z ð ç ± ( ¶ ® û é è I

- 37 -

2) 질병관련 특성에 따른 가족지지 정도

본 연구의 대상인 뇌졸중 후 편마비 환자의 질병관련 특성에 따른 가족지지

정도에 대한 분석결과는 <표 12>와 같다.

가족지지가 마비부위, 손상기간, 보조기, 손상 후 모임변화, 손상 후 취미․오

락 변화에서 모두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이것은 질병관련 특성은 가족지

지 관련이 없는 것을 알 수 있다.

<표 12> 질병관련 특성에 따른 가족지지 정도

특 성 구 분대상자

수(명)

가족지지의

평균값표준편차

T 또는 F

검정값

마비된 부위왼쪽 53 4.38 0.86

1.519오른쪽 67 4.12 1.07

손상기간

3개월이내 27 4.14 1.22

0.2806개월이내 35 4.20 0.93

6개월이상 58 4.30 0.93

보조기

바퀴의자 27 4.28 1.02

0.350목발과 바퀴의자 33 4.21 1.05

지팡이 26 4.06 0.98

사용안함 27 4.33 1.01

손상 후

모임변화

예 84 4.17 1.03-1.259

아니오 18 4.42 0.68

손상 후

취미, 오락변화

예 68 4.16 1.01-2.217

아니오 25 4.22 1.10

총 평 점 3.10

*p<.05 **p<.01 ***p<.001

Page 50: ± º 1 C : WD ` ¿ À n 2 L ¤ 2X û ï > ÑÑ Â (D 0I ³ · 2019-06-28 · U 8 û ¹ 8 i ä î ± a Þ î Þ q ç ± & t F I ã À ( Ý ì 2 5 ý z ð ç ± ( ¶ ® û é è I

- 38 -

3) 가족관련 특성에 따른 가족지지 정도

본 연구의 대상인 뇌졸중 후 편마비 환자의 가족관련 특성에 따른 가족지지

정도에 대한 분석결과는 <표 13>과 같다.

가족지지 정도는 주간호자, 가족형태, 손상 전․후 가족 부양자, 경제수준, 한

달 평균 수입, 치료비 부담자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 다. 주 간호자

에 따른 가족지지는 배우자인 경우에, 가족형태는 부부만 산다의 경우에 지지 정

도가 높게 나타났다. 손상 전․후 가족 부양자, 치료비 부담자에 따른 가족지지는

각각이 배우자인 경우에 지지 정도가 높고, 본인인 경우에 낮게 나타났다. 경제수

준에 따른 가족지지는 중 이상인 경우에, 한달 평균수입은 200만원 이상인 경우에

높게 나타났다.

<표 13> 가족관련 특성에 따른 가족지지 정도

특 성 구 분 대상자 수(명)

일상생활동작수행의평균값 표 준 편 차 T 또는 F

검정값

동거 가족수1명 37 4.27 0.95

0.9772명 27 4.56 0.673명이상 48 4.38 0.76

주 간호자배우자 57 4.64 0.62

23.506***

자녀 39 4.21 0.76친척 및 간병인 22 3.18 1.37

가족 형태혼자산다 10 2.27 0.92

38.341***

부부만 산다 34 4.54 0.72자녀와 산다 67 4.42 0.75

손상 전

가족 부양자

본인 71 4.12 1.104.011

**배우자 26 4.71 0.40자녀 19 4.04 0.98

손상 후

가족 부양자

본인 17 3.78 1.526.555***배우자 40 4.66 0.48

자녀 51 4.20 0.87

경제 수준중이하 62 4.02 1.13

-2.717***

중이상 56 4.50 0.73

한달 평균 수입199만원이하 68 4.07 1.11

-2.253**

200만원이상 51 4.46 0.77

치료비 부담자본인 11 3.89 1.50

4.779**배우자 38 4.67 0.49

자녀 50 4.22 0.89

총 평 점 2.65

*p<.05 **p<.01 ***p<.001

Page 51: ± º 1 C : WD ` ¿ À n 2 L ¤ 2X û ï > ÑÑ Â (D 0I ³ · 2019-06-28 · U 8 û ¹ 8 i ä î ± a Þ î Þ q ç ± & t F I ã À ( Ý ì 2 5 ý z ð ç ± ( ¶ ® û é è I

- 39 -

다. 환자의 특성에 따른 우울 정도의 차이

1) 일반적 특성에 따른 우울 정도

본 연구의 대상인 뇌졸중 후 편마비 환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우울 정도에

대한 분석결과는 <표 14>와 같다.

우울 정도가 환자구분, 성별, 종교의 유무에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지

만, 연령, 직업의 유무, 결혼상태, 교육수준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연령에 따

른 우울은 60대 이상에서 우울 정도가 가장 높고, 40대 이하에서 우울 정도가 낮

은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의 유무에 따른 우울은 직업이 있는 경우에서, 결혼상태

에 따른 우울은 배우자가 있는 경우에서 우울 정도가 낮게 나타났다. 교육수준에

따른 우울은 고퇴/졸 이상인 경우에서 우울 정도가 낮고, 국퇴/졸 이하인 경우에

우울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표 14>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우울 정도

특 성 구 분대상자

수(명)우울정도의

평균값표 준 편 차 T 또는 F

검정값

환자구분외래 57 4.20 0.87

-1.279입원 56 4.42 0.93

성 별남성 66 2.70 0.40

-0.932여성 50 2.77 0.37

연 령40대 이하 25 2.94 0.37

5.517***

5 0 대 49 2.78 0.3760대 이상 44 2.75 0.32

직업의 유무없 다 58 2.66 0.39

-2.013**있 다 61 2.81 0.40

결혼 상태무배우자 48 2.70 0.39

3.576***유배우자 69 2.82 0.40

교육수준국퇴/졸이하 45 2.61 0.36

4.971***

중퇴졸 30 2.76 0.40고퇴/졸이상 42 2.87 0.39

종교의 유무있 다 60 2.83 0.34

2.061없 다 59 2.67 0.39

총 평 점 2.95

*p<.05 **p<.01 ***p<.001

Page 52: ± º 1 C : WD ` ¿ À n 2 L ¤ 2X û ï > ÑÑ Â (D 0I ³ · 2019-06-28 · U 8 û ¹ 8 i ä î ± a Þ î Þ q ç ± & t F I ã À ( Ý ì 2 5 ý z ð ç ± ( ¶ ® û é è I

- 40 -

2) 질병관련 특성에 따른 우울 정도

본 연구의 대상인 뇌졸중 후 편마비 환자의 질병관련 특성에 따른 우울 정도

에 대한 분석결과는 <표 15>와 같다.

우울 정도가 마비부위, 손상기간, 보조기, 손상 후 모임변화, 손상 후 취미․

오락 변화에서 모두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이것은 질병관련 특성은 우울

정도와 관련이 없는 것을 알 수 있다.

<표 15> 질병관련 특성에 따른 우울 정도

특 성 구 분대상자

수(명)

우울정도의

평균값표 준 편 차

T 또는 F

검정값

마비된 부위왼쪽 52 2.76 0.39

0.460오른쪽 66 2.72 0.40

손상기간

3개월이내 27 2.78 0.41

1.1386개월이내 34 2.66 0.39

6개월이상 57 2.78 0.39

보조기

바퀴의자 26 2.73 0.37

2.037목발과 바퀴의자 32 2.80 0.42

지팡이 26 2.62 0.35

사용안함 27 2.87 0.41

손상 후

모임변화

예 82 2.71 0.39-0.546

아니오 18 2.77 0.47

손상 후

취미, 오락변화

예 66 2.68 0.41-0.425

아니오 25 2.72 0.42

총 평 점 2.67

*p<.05 **p<.01 ***p<.001

Page 53: ± º 1 C : WD ` ¿ À n 2 L ¤ 2X û ï > ÑÑ Â (D 0I ³ · 2019-06-28 · U 8 û ¹ 8 i ä î ± a Þ î Þ q ç ± & t F I ã À ( Ý ì 2 5 ý z ð ç ± ( ¶ ® û é è I

- 41 -

3) 가족관련 특성에 따른 우울 정도

본 연구의 대상인 뇌졸중 후 편마비 환자의 가족관련 특성에 따른 우울 정도

에 대한 분석결과는 <표 16>과 같다.

우울 정도가 동거 가족수, 경제 수준, 한달 평균 수입에는 통계학적으로 유의

하지 않았지만, 주간호자, 가족형태, 손상 전․후 가족 부양자, 치료비 부담자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 다. 주 간호자에 따른 우울은 배우자의 경우에 우

울 정도가 낮고, 친척 및 간병인 경우에 우울 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가족형태는

자녀와 산다, 부부만 산다, 혼자 산다의 순으로 우울 정도가 낮게 나타났다. 손상

전․후 가족 부양자, 치료비 부담자에 따른 우울은 각각이 배우자, 본인 자녀의 순

으로 우울 정도가 낮게 나타났다.

<표 16> 가족관련 특성에 따른 우울 정도

특 성 구 분대상자 수(명)

일상생활동작수행의평균값

표 준 편 차 T 또는 F 검정값

동거 가족수1명 37 2.73 0.44

0.5282명 26 2.82 0.383명이상 47 2.79 0.34

주 간호자배우자 56 2.85 0.40

6.365***

자녀 38 2.72 0.34친척 및 간병인 22 2.52 0.38

가족 형태혼자산다 10 2.33 0.26

7.192***

부부만 산다 34 2.78 0.44자녀와 산다 65 2.81 0.35

손상 전

가족 부양자

본인 69 2.75 0.387.628

***배우자 26 2.92 0.35자녀 19 2.48 0.38

손상 후

가족 부양자

본인 17 2.74 0.452.843*배우자 40 2.87 0.40

자녀 50 2.67 0.36

경제 수준중이하 61 2.71 0.40

-1.102중이상 55 2.79 0.39

한달 평균 수입199만원이하 67 2.70 0.41

-1.396200만원이상 50 2.80 0.38

치료비 부담자본인 11 2.86 0.41

3.510**배우자 38 2.88 0.38

자녀 49 2.67 0.38

총 평 점 2.65

*p<.05 **p<.01 ***p<.001

Page 54: ± º 1 C : WD ` ¿ À n 2 L ¤ 2X û ï > ÑÑ Â (D 0I ³ · 2019-06-28 · U 8 û ¹ 8 i ä î ± a Þ î Þ q ç ± & t F I ã À ( Ý ì 2 5 ý z ð ç ± ( ¶ ® û é è I

- 42 -

Ⅴ. 고찰

1. 연구방법에 대한 고찰

본 연구는 종합병원의 입원 또는 외래에 내원하여 치료받고 있는 뇌졸중 후

편마비 환자를 대상으로, 일상생활동작 수행, 가족지지 및 우울의 현황과 환자의

특성에 따른 각각의 차이를 알아보아 뇌졸중 후 편마비 환자의 수행과 가족지지

를 높이고 우울을 줄이는데 도움을 주고자 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뇌졸중 후 편마비 환자의 일상생활동작 수준을 측정하기 위해 『Modified

Barthel Index』(Granger등, 1979)를 최혜숙(1995)이 번역한 도구를 사용하 으며

신뢰도는 Cronbach´s Alpha=.9494이었다. 이 도구는 일상생활동작 수준을 검사하

는 도구 중 가장 널리 알려진 것으로서 Granger 등(1975)은 이 도구로 뇌졸중 환

자의 평가에 이용한 결과 어느 주어진 시점에서 환자의 일상생활동작 기능의 상

태를 편리하게 객관적으로 나타낼 수 있음을 밝혔고 또, 모든 주요한 신체장애군

에 이를 적용한 결과 Barthel Index가 일상생활동작의 능력평가에 있어 가치가 있

고 믿을 만하여 기능의 변화에 민감한 평가방법이라고 하 다(Granger 등, 1979).

가족지지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강현숙(1984)이 Cobb(1976)의 도구를 우리나

라 실정에 맞게 수정 보완한 『가족지지 측정도구』를 사용하 으며 신뢰도는

Cronbach´s Alpha=.97로 나타났다. 우울 정도를 검사하기 위해서는 Zung(1965)이

개발한 자가우울증 평가표(self-rating depression scale)로 환자의 우울 정도를 평

가하 으며 신뢰도는 Cronbach´s Alpha=.82로 나타났다. Zung의 자가우울증 평가

표는 Grinker(1961), Overall(1962), 및 Friedman(1963)이 우울증의 인자분석을 통

하여 추출한 공통적이고 특징적인 인자들을 20문항으로 작성한 척도로, 비교적 문

항이 짧고 간단하며 단시간 내 조사대상자 자신이 기록할 수 있어, 집중력이 부족

한 뇌졸중 환자의 우울 정도 측정으로 적합하여 본 연구에 사용하 다. 이 연구의

대상이 된 뇌졸중 후 편마비 환자들은 신경과 혹은 재활의학과 전문의에 의해 뇌

Page 55: ± º 1 C : WD ` ¿ À n 2 L ¤ 2X û ï > ÑÑ Â (D 0I ³ · 2019-06-28 · U 8 û ¹ 8 i ä î ± a Þ î Þ q ç ± & t F I ã À ( Ý ì 2 5 ý z ð ç ± ( ¶ ® û é è I

- 43 -

졸중으로 진단받은 환자들로 국한하 고, 뇌졸중 후 편마비 환자들 중에서도 실어

증이 없어야 되며, 연구자에 의해 또는 직접 질문지를 읽고 응답할 수 있으며, 의

사소통이 가능하다고 판단되어지는 환자를 대상으로 하 는데, Starkstein과

Robinson 등(1989)이 이런 변수들은 뇌졸중 후 우울증과 임상적 변수사이에 있어

서 중요하게 향을 미칠 수 있다고 하 기 때문이다. Benson(1973)은 언어장애로

인해 이차적인 심리적인 향을 일으키게 된다고 하 으며, Robinson과

Benson(1981)은 뇌졸중으로 인한 우울은 말을 잘 하거나 혹은 전실어증(gobal

aphasia) 환자보다 말을 잘하지 못하는 환자에서 더욱 흔하다고 하 다. 또 실어

증은 뇌졸중 환자에서 우울을 일으키게 하는 위험요인중의 하나라고 하 다

(Starkstein과 Robinson, 1988). 지난 10년 동안 우울과 인지장애와의 관련에 대한

연구에서 뇌졸중 환자가 인지능력이 떨어질 경우 우울이 심하게 된다고 하 다

(Starkstein과 Robinson, 1988).

이 연구에서는 뇌졸중 후 편마비 환자의 일상생활동작 수준과 가족지지가 우

울과 어느 정도 관련이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하 다. 연

구 대상자에게는 설문지를 배부하기 전에 연구의 취지를 설명하고 동의를 얻었으

며 가능한 한 정확한 자료를 얻기 위해 질문사항에 대하여 자세한 설명을 해주었

고 그 중에서도 이 연구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대상자만을 선정하여 환자가 혼

자서 직접 설문지를 읽고 작성하거나 연구자에 의해 읽고 응답하도록 해서 작성

하 다.

2. 연구결과에 대한 고찰

지금까지의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중요한 사항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뇌졸

중 후 편마비 환자의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면, 연령별 분포는 50대가 49명(41.5%)

으로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이 60대로 35명(29.7%)이었으며, 40대가 23명(19.5%),

70대 이상이 9명(7.6%), 30대가 2명(1.7%)등의 순서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

는 뇌졸중이 40대 이후에 대부분 발생한다는 Anderson(1988)의 연구결과와 유사

Page 56: ± º 1 C : WD ` ¿ À n 2 L ¤ 2X û ï > ÑÑ Â (D 0I ³ · 2019-06-28 · U 8 û ¹ 8 i ä î ± a Þ î Þ q ç ± & t F I ã À ( Ý ì 2 5 ý z ð ç ± ( ¶ ® û é è I

- 44 -

하다. 이는 뇌졸중으로 인한 편마비가 생의 주기 가운데 성인기에 많이 올 수 있

기 때문일 것이다. 또한 40세가 23명(19.5%), 30대가 2명(1.7%)인 것을 볼 때 최근

뇌졸중이 젊은 층에서도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우리나라의 생활수준 및 식습관이 서구화되어감에 따라 체내지방의 증가와 더불

어 혈중 콜레스테롤수치의 증가, 그에 따른 고혈압 증세가 과거에 비하여 젊은층

의 연령에서도 많이 나타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보여, 본 연구에서는 고려하지

않았지만 이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뇌졸중 후 편마비 환자의 일상생활동작 수행정도는 총평점 2.64로 대부분의

환자들이 도움을 필요로 하는 수준임을 볼 수 있었다. 뇌졸중 후 편마비 환자의

특성에 따른 일상생활동작 수행정도에 유의한 차이를 보 던 변수는 연령, 결혼상

태, 교육수준, 보조기, 손상 후 모임 변화, 손상 후 취미와 오락의 변화, 손상 전․

후 가족 부양자, 치료비 부담자 다. 연령에서는 40대 이하가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냈고 60대 이상에서 가장 낮은 점수를 나타나 연령이 증가할수록 일상생활동

작 수행정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나 이 연구결과는 연령이 증가할수록 치료결과의

수준이 낮아진다고 한 Wade 등(1983)의 연구결과와 유사하 다. 주 간호자에 따

른 일상생활동작 수행에서는 배우자가 주로 간호할 때 일상생활동작 수행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이는 Rakel(1977)의 연구결과, 배우자가 가장 유용하고 향

력 있는 가족구성원으로 보고한 것과 다르게 본 연구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

지 않았다. 손상기간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Novack 등

(1984)은 병력기간이 치료결과와 관련이 있다고 하 는데 치료결과를 예측하기 위

해서는 다른 요인을 고려해야 한다고 하 다. 손상 후 모임변화와 손상 후 취미,

오락변화에서 변화가 없는 경우에 일상생활동작 수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것은 일상생활동작 수행능력이 높음으로 해서 손상 후 모임․취미․오락의 변화

가 없을 수 있으므로 큰 의미는 있다고 볼 수 없다.

뇌졸중 후 편마비 환자가 지각하는 가족지지 정도는 물질적 지지는 3문항으

로 평균 4.41 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정서적 지지가 평균 4.39 로, 평가적 지

지가 평균 4.23 으로, 정보적 지지가 평균 4.21 로 나타났으며 총 평점은 4.23으로

가족들이 환자에 대한 지지도는 조금 높은 결과를 보 다. 이 결과는 같은 도구를

Page 57: ± º 1 C : WD ` ¿ À n 2 L ¤ 2X û ï > ÑÑ Â (D 0I ³ · 2019-06-28 · U 8 û ¹ 8 i ä î ± a Þ î Þ q ç ± & t F I ã À ( Ý ì 2 5 ý z ð ç ± ( ¶ ® û é è I

- 45 -

사용한 김정식(1995)의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가족지지 점수가 평

균평점 3.58로 나타났고 최혜경(1987)의 만성관절염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총평점 43.45, 평균평점 3.95으로 나타나 본 연구의 결과가 상기 연구보다 높은 가

족지지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뇌졸중 후 편마비 환자의 특성에 따른 가족지지 정도에 유의한 차이를 보

던 변수는 결혼상태, 주간호자, 가족 형태, 손상 전․후 가족 부양자, 경제 수준,

한달 평균 수입, 치료비 부담자 다. 경제상태에서는 중이상이 중이하보다 지지 정

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안정된 경제적 여건으로 인한 부담감이 적기 때

문에 가족지지를 많이 받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뇌졸중 후 편마비 환자의 우울 정도는 정동적 우울은 평균 3.17, 생리적 우울

은 2.87, 심리적 우울은 2.20을 받았고 평균점수를 비교해 본 결과 정동적 우울이

가장 높게 나타나서 정동적 우울의 정도가 가장 덜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반면에

심리적 우울의 경우는 가장 낮게 나타나서 우울 정도 중에서 심리적 우울이 가장

큰 우울 정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뇌졸중 후 편마비 환자의 특성에 따

른 우울 정도는 연령, 직업의 유무, 결혼상태, 교육수준, 주 간호자, 가족형태, 손상

전․후 가족 부양자, 치료비 부담자 다. 성별에서는 우울 정도에 남․녀 차이가

없다고 하여(박원경, 1987; 이인구 등, 1988; Feibel과 Springer, 1982) 본 연구결과

와 일치된 결과를 보 다. 연령에서는 우울 정도에 향을 주었는데 이것은(박원

경, 1987; 이인구 등, 1988; Feibel과 Springer, 1982)의 연구결과와 상반된 결과를

나타냈다. Robinson(1986)은 환자의 교육수준과 우울이 관련이 없다고 하 으나

박원경(1987)은 환자의 교육수준이 낮을수록 우울 많이 느낀다고 하여 본 연구결

과와 일치된 결과를 보 다. 이는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더욱 현실적인 반응을 하

기 쉬우며 감정을 적절히 발산할 수 있으므로 적응력이 강해진다는 것이다

(Synder와 Wilson, 1977). 또 Myers 등(1975)은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우울을 이기

기 위해 좋은 대안을 생각하기 쉬우며 충고를 받을 수 있는 전문가 또는 친구를

가질 가능성이 많기 때문에 생활위기의 충격에 대해 개인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

다고 주장하 다.

현재직업에 따라 우울 정도에는 차이가 없다고 하 으나(박원경, 1987) 본 연

Page 58: ± º 1 C : WD ` ¿ À n 2 L ¤ 2X û ï > ÑÑ Â (D 0I ³ · 2019-06-28 · U 8 û ¹ 8 i ä î ± a Þ î Þ q ç ± & t F I ã À ( Ý ì 2 5 ý z ð ç ± ( ¶ ® û é è I

- 46 -

구에서는 직업이 없는 경우에 우울이 높게 나타나 이전의 연구와는 다른 연구결

과를 보 으나 (김경선, 1995)과는 같은 결과를 보 다. 손상 후 가족도 배우자가

부양할 때 보다 자녀 등 다른 사람이 부양할 때 우울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

다. 이는 가정에서의 책임과 역할을 다하지 못하여서 자녀에게 짐이 될 것이라고

생각하는 데서 오는 것이 아닌가 한다. 현재 치료비 부담자도 본인이나 배우자가

부담하는 경우보다 자녀가 부담하는 경우에서 우울 정도가 높다고 하여(박원경,

1987) 본 연구와 일치된 결과를 나타내었다. 손상기간에 따라서는 우울 정도에 차

이가 없다고 하 는데(Wade, 1987) 이것은 본 연구결과와 일치하 다.

일상생활동작 수행정도와 우울과의 관련성에서 관련성이 없다고 하 고(이인

구, 1988; Feibel과 Springer, 1982) 강현숙(1984)과 Robinson(1986)은 일상생활수

행정도와 우울에는 음의 상관관계가 있어 일상생활 수행정도가 높을수록 우울 정

도가 낮다고 하 는데 본 연구와 일치된 결과를 보 다. 또한 가족지지도의 경우

도 환자의 우울정도와 유의수준 0.01 하에서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분석되었

다. 여기서 우울의 값의 의미는 점수가 높을수록 우울의 정도가 낮은 것을 의미

하므로 사실로 보면 일상생활동작 수행 및 가족지지는 우울 정도와 음의 상관관

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뇌졸중 후 편마비 환자의 장기적인

긍정적 재활치료를 위해 환자의 특성에 따른 일상생활동작 수행, 가족지지 및 우

울 정도의 차이를 분석하고 이해함으로써 다양한 간호중재술 개발에 도움이 될

수 있으며 또한 계속적인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고 생각한다.

Page 59: ± º 1 C : WD ` ¿ À n 2 L ¤ 2X û ï > ÑÑ Â (D 0I ³ · 2019-06-28 · U 8 û ¹ 8 i ä î ± a Þ î Þ q ç ± & t F I ã À ( Ý ì 2 5 ý z ð ç ± ( ¶ ® û é è I

- 47 -

Ⅵ. 결론 및 제언

1. 결론

본 연구는 뇌졸중 후 편마비 환자의 일상생활동작 수행, 가족지지, 우울의 현

황을 알아보고, 환자의 특성에 따른 각각의 차이와 세 변인들간의 관계성을 분석

함으로써 편마비 환자의 긍정적인 재활활동을 하도록 돕기 위한 간호중재의 기초

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는 원주에 소재한 W종합병원의 입원병실 또는

외래를 내원하는 뇌졸중 후 편마비 환자(입원60명, 외래60명)를 대상으로 하여

2004년 3월 29일부터 4월 24일까지 설문지 조사를 실시하 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일상생활동작 수행정도의 총 평점은 2.64로 나타났다. 이는 대부분의 환자들이

수행능력에 있어 도움을 필요로 하는 수준임을 나타낸다.

2. 가족지지 정도의 총 평점은 4.23으로 나타났다. 물질적 지지는 3문항으로 평균

4.41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정서적 지지가 평균 4.39로, 평가적지지가 평균 4.23

으로, 정보적 지지가 평균 4.21로 나타났다. 그림으로 그려보면 대부분의 환자들이

가족지지를 받고 있는 편향된 그래프를 볼 수 있다. 이는 환자 대부분들이 가족지

지도가 높다는 것을 의미하며, 따라서 가족지지도는 향요인 변수로 활용하기는

어렵다는 것을 의미한다.

3. 우울 정도의 총 평점은 2.74로 나타났다. 이것은 점수가 높을수록 우울 정도가

낮은 것을 나타내므로 대부분의 환자가 우울을 느끼는 것을 나타낸다. 우울 중에

서 심리적 우울이 가장 높고 정동적 우울이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4. 환자의 일상생활동작 수행, 가족지지 및 우울의 상관분석을 실시해 본 결과 일

Page 60: ± º 1 C : WD ` ¿ À n 2 L ¤ 2X û ï > ÑÑ Â (D 0I ³ · 2019-06-28 · U 8 û ¹ 8 i ä î ± a Þ î Þ q ç ± & t F I ã À ( Ý ì 2 5 ý z ð ç ± ( ¶ ® û é è I

- 48 -

상생활 수행능력과 가족지지도는 유의확률이 0.421로 서로 상관관계가 없음을 보

이고 있는 반면에 일상생활 수행능력은 환자의 우울정도와 유의수준 0.01 하에서

유의적인 값을 가지고 있으며, 또한 가족지지도의 경우도 환자의 우울정도와 유의

수준 0.01 하에서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여기서 우울의 값의 의

미는 점수가 높을수록 우울의 정도가 낮은 것을 의미하므로 사실로 보면 일상생

활동작 수행 및 가족지지는 우울 정도와 음의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

타났다.

5. 환자의 특성에 따른 일상생활동작 수행 정도는 연령이 40대 이하인 경우, 결혼

상태에서 배우자가 있는 경우, 교육수준이 고퇴/졸 이상인 경우, 보조기를 사용하

지 않는 경우, 손상 후 모임, 취미, 오락변화에서 변화가 없는 경우, 손상 전․후

가족 부양자와 치료비 부담자가 본인인 경우에서 수행능력이 높은 것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P<.05).

6. 환자의 특성에 따른 가족지지 정도는 결혼상태에서 배우자가 있는 경우, 주 간

호자가 배우자인 경우, 가족형태에서 부부만 사는 경우, 손상 전․후 가족 부양

자와 치료비 부담자가 배우자인 경우, 경제수준은 중 이상인 경우, 한달 평균수입

은 200만원 이상인 경우에서 가족지지 정도가 높은 것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

다(P<.05).

7. 환자의 특성에 따른 우울 정도는 연령이 40대 이하인 경우, 직업이 있는 경우,

결혼상태에서 배우자가 있는 경우, 교육수준이 고퇴/졸 이상인 경우, 주 간호자

가 배우자인 경우, 가족형태에서 자녀와 사는 경우, 손상 전․후 가족 부양자와 치

료비 부담자가 본인인 경우에서 우울 정도가 낮은 것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

다(P<.05).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뇌졸중 후 편마비 환자의 일상생활동작 수

행, 가족지지 및 우울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가족지지인

Page 61: ± º 1 C : WD ` ¿ À n 2 L ¤ 2X û ï > ÑÑ Â (D 0I ³ · 2019-06-28 · U 8 û ¹ 8 i ä î ± a Þ î Þ q ç ± & t F I ã À ( Ý ì 2 5 ý z ð ç ± ( ¶ ® û é è I

- 49 -

경우에는 대부분의 환자가 전적으로 가족지지를 받고 있는 상황이어서 가족지지

정도에 따른 우울정도를 보는 것에는 큰 의미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일

상생활동작 수행인 경우에는 질병의 중증도에 의해 많은 부분 환자가 직접 동작

수행을 할 수 없기에 우울에 크게 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각의 현황을

보면 대부분의 환자들이 수행능력에 있어 도움을 필요로 하는 수준임을 나타내고,

가족지지도가 높으며, 대부분의 환자가 우울을 느끼는 것을 나타낸다. 일상생활동

작 수행정도와 관련이 있는 주요변인으로는 연령, 배우자의 유무, 교육수준, 보조

기, 손상 후 모임․취미․오락의 변화, 손상 전․후 가족 부양자, 치료비 부담자를

들 수 있었다. 가족지지 정도와 관련이 있는 주요변인으로는 배우자의 유무, 주

간호자, 가족 형태, 손상 전․후 가족 부양자, 경제수준, 한달 평균 수입, 치료비

부담자를 들 수 있었다. 우울 정도와 관련이 있는 주요변인으로는 연령, 직업의

유무, 배우 자의 유무, 교육수준, 주 간호자, 가족 형태, 손상 전․후 가족 부양자,

치료비 부담자를 들 수 있었다.

그러므로 뇌졸중 후 편마비 환자들의 특성을 파악하고 일상생활동작 수행, 가

족지지 및 우울의 현황과 환자의 특성에 따른 정도의 차이를 분석하고 이해함으

로써 일상생활동작 수행을 용이하게 하는데 도와주고 가족지지 정도를 높일 수

있으며 따라서 우울이 감소하게 됨으로써 장기적인 긍정적 재활치료를 하는데 도

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상생활동작 수행, 가족지지 및 우울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다양한 간호중재술 개발에도 깊은 관심을 기울여야 할 것으로 본다.

2. 제언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1. 장기적인 재활치료를 받고 있는 편마비 환자의 일상생활동작 수행, 가족지지,

우울을 높이는 간호 중재방안의 개발 및 그 효과에 관한 연구를 진행할 것을 제

Page 62: ± º 1 C : WD ` ¿ À n 2 L ¤ 2X û ï > ÑÑ Â (D 0I ³ · 2019-06-28 · U 8 û ¹ 8 i ä î ± a Þ î Þ q ç ± & t F I ã À ( Ý ì 2 5 ý z ð ç ± ( ¶ ® û é è I

- 50 -

언한다.

2. 대상자선정에 있어서 외래환자와 입원환자를 구분하여 특성에 따른 심층적인

연구를 시행할 것을 제언한다.

3. 일상생활동작 수행, 가족지지, 우울과의 전향성 연구가 계속되어야 한다고 생각

되며, 우울과 일상생활동작 수행능력이 인지기능에 따라 얼마나 차이가 있는지 등

을 고려한 연구가 필요하다.

4. 본 연구결과는 1개의 대학부속병원의 외래 및 병실에서 비교적 가족지지를 많

이 받고 있는 거동이 불편한 환자를 대상으로 하 기 때문에 일반화하는 데에는

제한점이 있으므로 반복연구를 시행할 것을 제언한다.

Page 63: ± º 1 C : WD ` ¿ À n 2 L ¤ 2X û ï > ÑÑ Â (D 0I ³ · 2019-06-28 · U 8 û ¹ 8 i ä î ± a Þ î Þ q ç ± & t F I ã À ( Ý ì 2 5 ý z ð ç ± ( ¶ ® û é è I

- 51 -

참고문헌

강현숙, 재활강화교육이 편마비환자의 자가간호수행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실험적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1984.

김경선, 뇌졸중 환자의 일상생활동작 수준에 따른 스트레스 및 우울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5.

김명호, 김주한, 뇌졸중의 개요. 대한의학협회지 1992; 35: 976-983.

김순오, 하반신마비환자의 가족지지, 우울 및 자가간호 활동과의 관계 연구. 연세

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86.

김소선, 뇌졸중 환자를 돌보는 가족의 경험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

학위논문 1992.

김 희, 뇌졸중 환자의 시지각과 일상생활동작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5.

김정식, 뇌졸중 환자의 가족지지와 자가간호 수행과의 상관연구. 한양대학교 행정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5.

김중원, 두부손상환자 가족의 우울에 관하여. 신경정신의학 1983; 22(3): 357-365.

김조자, 환자 스트레스와 가족의 방문에 관한 실증적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

사학위논문 1982.

김현실, 조미 , 중환자가 지각한 가족지지와 절망감과의 관계연구. 대한간호학회

지 1992; 22(4): 620-635.

박동희, 뇌졸중 후 우울증에서 병변부위에 따른 우울증의 정도와 Dexametasone

억제의 차이. 한림대학교 대학원 1994.

박원경, 뇌졸중으로 인한 편마비 환자가 지각한 스트레스와 우울에 관한 연구. 이

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87.

박지원, 사회적 지지척도 개발을 위한 일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85.

신정빈, 조경자, 신정순, 장애자의 일상생활동작 평가에 대한 검토. 대한재활의학회

Page 64: ± º 1 C : WD ` ¿ À n 2 L ¤ 2X û ï > ÑÑ Â (D 0I ³ · 2019-06-28 · U 8 û ¹ 8 i ä î ± a Þ î Þ q ç ± & t F I ã À ( Ý ì 2 5 ý z ð ç ± ( ¶ ® û é è I

- 52 -

지 1987; 11(10): 10-21.

신재신, “노인의 근관절운동이 자가간호활동과 우울에 미치는 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85.

유명란, 만성질환자의 우울과 불확실성에 관한 연구 -군병원을 중심으로- 연세대

학교 간호학과 석사학위논문 1993.

이명해, 편마비 환자가 지각한 가족지지와 불안과의 관계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91.

이상화, 스트레스요인으로서의 생활사건과 불안 및 가족기능의 관계에 대한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1.

안용팔, 이숙자, 양승한. 뇌졸중 편마비환자의 의식구조. 대한재활의학회지 1984;

8(2): 92-98.

유숙자외,「정신간호총론」, 수문사, 1983, p. 342.

유은 , 전세일, 오희철, 전중선, 뇌졸중 환자의 인지지각 기능과 일상생활동작 수

행능력과의 상관관계 연구. 대한작업치료학회지 1997; 5(1): 8-1.

윤 진, 「성인노인심리학」, 중앙적성출판사, 1985, p. 181.

전산초, 「내외과 간호학」, 수문사, 1978, pp. 1-4, 488-492.

조복희, 뇌졸중 환자의 가족지지에 향을 미치는 요인분석. 재활간호학회지 1998;

1(1);1-4.

최성희, 뇌졸중 노인의 재활의욕을 높이기 위한 사회 사업적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사회사업학과 석사학위논문 1991.

최순남, “현대노인복지론”, 한신대학교 출판부,1998, 187-188.

태 숙, 전게서, p. 39.

한애경, 가족참여 환자교육이 가족지지행위와 자가간호수행에 미치는 효과. 연세대

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8.

홍완호, “우울증 빈도의 남녀대비에 관한 고찰”, 신경정신의학, 17권 1978, p. 411.

American Occupational therapy Association(AOTA). Uniform terminology for

occupational therapy. 3rd ed, 1994.

Anderson. T.P. Rehabilitation of patient with Completed Stroke. In: Kottke FJ,

Page 65: ± º 1 C : WD ` ¿ À n 2 L ¤ 2X û ï > ÑÑ Â (D 0I ³ · 2019-06-28 · U 8 û ¹ 8 i ä î ± a Þ î Þ q ç ± & t F I ã À ( Ý ì 2 5 ý z ð ç ± ( ¶ ® û é è I

- 53 -

Krusen′s Handbook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4th ed. WB

Saunder′s Company. Philadlphia 1990: 656-678.

Beam. I. M. Heiping Families Survive, American Journal of Nursing 1984;

229-232.

Beck AT, Beck RW. Screening depressed patients in family practice; a rapid

technic. Posrgrad Med 1972; 52; 81-85.

Birch HG, Proctor FP, Bortner M, et al(1960). Preception in hemiplegia : Ⅱ.

Judgement of median plane. Arch Phys Med Rehabil, 41:71-75.

Vaughn, C.E, J.P.Jeff, "The Influence of Family and Social Factors on the

Course of Psychiatric Illness : A Comprision of Schizophrenic and

Depressed Neurotic Patient,", Br. J. Psychiat. , Vol.129, pp. 125-128.

Cobb,S, Social support as a moderator as life stress. Psychosomatic Medicine

1976; 38(5): 300-314.

Cobb, "Social Support as Moderator of Life Stress, Psychosomatic Medicine.

Vol.38, No5, 1976, pp. 38-40.

Croog,S.H, The Family as a Source of Stress, Social Stress, Chicago: Aldune

1970; 19-53.

Hamburg, D.A. "A Perspective in Coping Behavior",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Vol.17, 1967, pp. 277-284.

Fribel, J.H., C.J. Depression and failure to resume social activities after stroke.

Arch. Phys. Med. Rehabil 1982; 63: 276-278.

Gerald Caplan. Support Systems and Community Mental Health, New York:

Behavioral Publication, 1974.

Hamburg, D.A. A Perspective on Coping Behavior, Archives Gen. Psychiatry

1967; 17: 277-284.

Hopkins HL, Smith HD. Willard and Spacman′s. Occupational therapy. 8th ed.

Philadelphia: JB Lippincdtt Co., 1993: 192-206.

House, J. J. Work stress & social support, Massachusetts: Addison-Wesley

Page 66: ± º 1 C : WD ` ¿ À n 2 L ¤ 2X û ï > ÑÑ Â (D 0I ³ · 2019-06-28 · U 8 û ¹ 8 i ä î ± a Þ î Þ q ç ± & t F I ã À ( Ý ì 2 5 ý z ð ç ± ( ¶ ® û é è I

- 54 -

Publishing co, 1981.

Kottke FJ, Krusen′s Handbook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4th

ed. WB Saunder′s Company. Philadlphia 1990: 656-678.

Feldman, L.B, "Depression and Merital Interaction", Fram. Proc. , 15: 389.

Lehmann JF, DeLateur BJ, Fowler RS et al. Stroke rehabilitation Outcome and

prediction. Arch Phys Med Rehabil 1975; 56: 375-382.

Dimond, M "Social support and adaptation to chronic illness" : The case of

maintenance hemodialysis, Research in Nursing and Health, Vol.2, 1979,

pp. 101-108.

Morris PL, Raphael B, Robinson RG. Clinical depression is associated with I

impaired recovery from stroke. Med J Australia 1992; 157(17): 239-242.

Simeone, N.Lin, R, A model and W. Kuo, "Social support, stressful life events

& illness : A model and empirical test".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20, 1979, pp. 108-119.

Norbeck TA, Satterfield WT, Lyons K,et al. Stroke onset and rehabilitation:

Time lag as a factor in trement outcome. Arch Phys Med Rehabil

1984; 65: 316-319.

Oakes T.W. et al. Family Expectation and Arthritis Patient Compliance to a

Hand Resting Splint Regimen. Journal of Chronic Disease 1970; 22:

757-764.

Orem. D. Nursing : Concept of Practice. N.Y: McGraw Hill Co., 1980.

Perdetti, L.W. Occupational therapy. In Cerebral vascular accident, 3rd ed. The

CV Mosby Co 1990; 603-621.

Hampe, S.O. , "Needs of the Grieving Spoise in a Holistic Setting" Nursing

Rsearch, Vol.24, No.2(1975), pp. 113-119.

Wade DT, Victorine AW, Hewer RL. Recovery after stroke-The first 3

months. J Neurol Neruosurg Psychiatry 1985; 48: 7-13.

Page 67: ± º 1 C : WD ` ¿ À n 2 L ¤ 2X û ï > ÑÑ Â (D 0I ³ · 2019-06-28 · U 8 û ¹ 8 i ä î ± a Þ î Þ q ç ± & t F I ã À ( Ý ì 2 5 ý z ð ç ± ( ¶ ® û é è I

- 55 -

부 록

부록 1 <표-1> 일상생활동작 수행측정도구에 대한 신뢰도

부록 1 <표-2> 가족지지 측정도구에 대한 신뢰도

부록 1 <표-3> 우울 측정도구에 대한 신뢰도

부록 2. Barthel Index Scoring

부록 3. 설문지

Page 68: ± º 1 C : WD ` ¿ À n 2 L ¤ 2X û ï > ÑÑ Â (D 0I ³ · 2019-06-28 · U 8 û ¹ 8 i ä î ± a Þ î Þ q ç ± & t F I ã À ( Ý ì 2 5 ý z ð ç ± ( ¶ ® û é è I

- 56 -

부록1 <표-1> 일상생활동작 수행 측정도구에 대한 신뢰도

구분 Mean Std Dev

1 : 물을 마시거나 식사를 할 수 있습니까? 2.62 0.90

2 : 웃옷을 입을 수 있습니까? 2.59 0.92

3 : 바지를 입을 수 있습니까? 2.68 0.94

4 : 보조기를 사용하십니까? 3.67 0.92

5 : 남 - 면도를 할 수 있습니까?

여 - 화장, 머리손질을 할 수 있습니까?3.05 0.95

6 : 세수, 목욕을 할 수 있습니까? 2.51 0.93

7 : 소변을 가릴 수 있습니까? 2.86 0.87

8 : 대변을 가릴 수 있습니까? 2.84 0.88

9 : 대, 소변 후 뒤처리를 할 수 있습니까? 2.34 0.94

10 : 의자에서 일어나고 앉는 것을 자유롭게 할 수 있습니까? 2.35 0.83

11 : 화장실 출입을 할 수 있습니까? 2.22 0.84

12 : 목욕탕 속을 자유롭게 드나들 수 있습니까? 1.86 0.81

13 : 50보 이상을 걸을 수 있습니까? 2.11 0.90

14 : 계단을 5개 정도 오르내릴 수 있습니까? 2.08 0.94

15 : 걸을 수 없는 경우 휠체어를 사용할 수 있습니까? 3.04 1.26

표준화 Alpha 0.9494

Page 69: ± º 1 C : WD ` ¿ À n 2 L ¤ 2X û ï > ÑÑ Â (D 0I ³ · 2019-06-28 · U 8 û ¹ 8 i ä î ± a Þ î Þ q ç ± & t F I ã À ( Ý ì 2 5 ý z ð ç ± ( ¶ ® û é è I

- 57 -

부록1 <표-2> 가족지지 측정도구에 대한 신뢰도

구분 Mean Std Dev

정서적

지지

1 : 가족은 나에게 회복될 수 있다고 용기와 격려를 준다 4.26 1.07

2 : 가족은 나를 아끼고 사랑한다. 4.30 1.05

3 : 나는 나의 가족을 믿고 의지 할 수 있다. 4.24 1.13

4 : 가족은 나를 귀찮은 존재로 생각한다. 4.53 .92

평 균 4.39

정보적

지지

5 : 가족은 내가 지루하지 않도록 많은 이야기를 해준다. 4.08 1.24

6 : 가족은 내가 외로워하거나 괴로워할 때

보고 싶은 사람을 만날 수 있도록 도와준다.4.24 1.03

평 균 4.21

물질적

지지

7 : 가족은 내가 불편하지 않도록 도와준다. 4.33 1.01

8 : 가족은 경제적인 이유로 나를 부담스러워 한다. 4.51 .86

9 : 가족은 나에게 헌신적인 도움을 준다. 4.27 1.02

평 균 4.41

평가적

지지

10 : 가족은 나의 의견을 존중해 준다. 4.17 1.08

11 : 가족은 나와 집안일을 의논한다. 4.21 1.06

평 균 4.23

표준화 Alpha 0.9794

* 은 부정문항임

Page 70: ± º 1 C : WD ` ¿ À n 2 L ¤ 2X û ï > ÑÑ Â (D 0I ³ · 2019-06-28 · U 8 û ¹ 8 i ä î ± a Þ î Þ q ç ± & t F I ã À ( Ý ì 2 5 ý z ð ç ± ( ¶ ® û é è I

- 58 -

부록1 <표-3> 우울 측정도구에 대한 신뢰도

구분 Mean Std Dev

정동적

우울

1 : 나는 의욕이 없고, 우울하거나 슬프다. 3.25 0.83

2 : 나는 갑자기 울고 싶거나 눈물이 난다. 3.09 0.87

평 균 3.17

생리적

우울

* 3 : 나는 하루 중 아침이 가장 기분이 좋다. 1.70 0.66

4 : 나는 밤에 잠을 설치거나 아침에 일찍 깬다. 3.05 0.81

* 5 : 나는 전과 다름없이 식욕이 있다. 3.02 0.80

* 6 : 나는 이성과 이야기하고 함께 있기를 좋아한다. 1.80 0.78

7 : 나는 체중이 준 것 같다. 3.38 0.72

8 : 나는 변비가 있다. 3.19 0.88

9 : 나는 심장이 두근거린다. 3.91 0.29

10 : 나는 별 이유없이 몸이 나른하고 피곤하다. 2.91 0.85

평 균 2.87

심리적

우울

*11 : 내 머리가 한결같이 맑다. 1.96 0.66

*12 : 나는 어떤 일이든 예전처럼 쉽게 처리한다. 1.53 0.65

13 : 나는 안절부절하며 진정할 수가 없다. 3.92 0.28

*14 : 나의 장래는 희망적이라고 생각한다. 1.76 0.70

15 : 나는 예전보다 더 신경질(짜증)이 난다. 2.66 0.72

*16 : 나는 매사에 결단력이 있다고 생각한다. 1.58 0.63

*17 : 나는 사회에 유익하고 필요한 사람이라고

생각한다.1.69 0.59

*18 : 나는 삶에 의의를 느낀다. 1.74 0.66

19 : 내가 죽어야 남들이 편할 것 같다. 3.24 0.91

*20 : 나는 전과 다름없이 만족하게 일한다. 1.82 0.66

평 균 2.20

표준화 Alpha 0.8267

* 은 부정문항임

Page 71: ± º 1 C : WD ` ¿ À n 2 L ¤ 2X û ï > ÑÑ Â (D 0I ³ · 2019-06-28 · U 8 û ¹ 8 i ä î ± a Þ î Þ q ç ± & t F I ã À ( Ý ì 2 5 ý z ð ç ± ( ¶ ® û é è I

- 59 -

부록2.

Barthel Index Scoring

Ⅰ: intact Ⅱ: lmited Ⅲ: helper Ⅳ: null

Independent Dependent

Ⅰ Ⅱ Ⅲ Ⅳ

10 5 1 1 Drink from cup/feed from dish

5 5 3 0 Dress upper body

5 5 2 0 Dress lower body

0 0 -2 0 Don brace or prothesis

5 5 0 0 Grooming

4 4 0 0 Wash or bathe

10 10 5 0 Bladder continence

10 10 5 0 Bowel continence

4 4 2 0 Care of perineum/clothing at toilet

15 15 7 0 Transfer, chair

6 5 3 0 Transfer, toilet

1 1 0 0 Transfer, tub or shower

15 15 10 0 Walking on level 50 yards or more

10 10 5 0 Up & done stairs for 1 flight or more

15 5 0 0 W/C /50 yds-only if not walking

Page 72: ± º 1 C : WD ` ¿ À n 2 L ¤ 2X û ï > ÑÑ Â (D 0I ³ · 2019-06-28 · U 8 û ¹ 8 i ä î ± a Þ î Þ q ç ± & t F I ã À ( Ý ì 2 5 ý z ð ç ± ( ¶ ® û é è I

- 60 -

부록2-1

Barthel Index Scoring

항 목혼자서쉽게 할수 있다

혼자서할 수 있으나어렵다

부분적으로다른사람의도움을 받는다

다른사람의도움없이는할 수 없다

1. 물을 마시거나 식사 할 수

있습니까?10 5 0 0

2. 웃옷을 입을 수 있습니까? 5 5 3 0

3. 바지를 입을 수 있습니까? 5 5 2 0

4. 보조기를 사용하십니까? 0 0 -2

5. 남: 면도를 할 수 있습니까?

여: 화장, 머리손질을 할 수

있습니까?

5 5 0 0

6. 세수, 목욕을 할 수

있습니까?4 4 0 0

7. 소변을 가릴 수 있습니까? 10 10 5 0

8. 대변을 가릴 수 있습니까? 10 10 5 0

9. 대,소변후 뒤처리를 할 수

있습니까?4 4 2 0

10. 의자에서 일어나고 앉는 것

을 자유롭게 할 수 있습니까?15 15 7 0

11. 화장실 출입을 할 수

있습니까?6 5 3 0

12. 목욕탕속을 자유롭게

드나들 수 있습니까?1 1 0 0

13. 50보 이상을 걸을 수

있습니까?15 15 10 0

14. 계단을 5개정도 오르내릴

수 있습니까?10 10 5 0

15. 걸을 수 없는 경우 휠체어

를 사용할수 있습니까?15 5 0 0

Page 73: ± º 1 C : WD ` ¿ À n 2 L ¤ 2X û ï > ÑÑ Â (D 0I ³ · 2019-06-28 · U 8 û ¹ 8 i ä î ± a Þ î Þ q ç ± & t F I ã À ( Ý ì 2 5 ý z ð ç ± ( ¶ ® û é è I

- 61 -

2004년 3월

연세대학교 보건환경대학원 보건행정 연구자 한 애

설 문 지

뇌졸중 후 편마비 환자의 특성에 따른 일상생활동작 수행, 가족지지 및 우울 정도의 차이분석

안녕하십니까.

저는 연세대학교 보건환경대학원에 재학중인 한 애입니다.

본 설문지는 재활을 필요로 하는 뇌졸중으로 인한 편마비 환

자의 가족지지, 일상생활동작수행과 우울정도를 알아보기 위

하여 자료를 수집하고자 합니다.

이 연구는 빠른 회복과 보다 나은 간호를 제공하기 위하여

필요한 기초자료로 이용되며 자료처리 및 결과는 순수한 연

구목적으로만 진행되고 사용되므로 여러분의 비 은 절대보

장됩니다.

대답에는 맞고 틀린답이 없으므로 사실대로 한 문항도 빠짐

없이 편안한 마음으로 대답하여 주시기를 바랍니다.

여러분의 적극적인 협조를 부탁드리며 본 연구는 여러분의

쾌유를 돕는데 조그마한 보탬이 되었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Page 74: ± º 1 C : WD ` ¿ À n 2 L ¤ 2X û ï > ÑÑ Â (D 0I ³ · 2019-06-28 · U 8 û ¹ 8 i ä î ± a Þ î Þ q ç ± & t F I ã À ( Ý ì 2 5 ý z ð ç ± ( ¶ ® û é è I

- 62 -

1.귀하의 마비된 부위는 어디입니까?

□①왼쪽 □②오른쪽

2. 귀하의 손상기간은 얼마나 되십니까?(발병일로부터 현재까지)

□①3개월이내

□②6개월이내

□③1년이내

□④2년이내

□⑤2년이상

3. 보조기를 사용한다면 어떤 종류입니까?

□①바퀴의자

□②목발

□③지팡이

□④보조기와 바퀴의자

□⑤목발과 바퀴의자

□⑥보조기사용안함

4. 손상 후 만나는 모임이 발병 전과 차이가 있습니까? □①예 □②아니오

예)라면 이유는

5. 손상 후 취미나 오락이 발병 전과 차이가 있습니까? □①예 □②아

니오

예)라면 이유는

■다음 문항은 질병관련특성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합니다.

귀하가 생각하는 것과 가장 일치된다고 생각하시는 해당란에 √표 및 답을 해 주십시오.

Page 75: ± º 1 C : WD ` ¿ À n 2 L ¤ 2X û ï > ÑÑ Â (D 0I ³ · 2019-06-28 · U 8 û ¹ 8 i ä î ± a Þ î Þ q ç ± & t F I ã À ( Ý ì 2 5 ý z ð ç ± ( ¶ ® û é è I

- 63 -

1. 현재 같이 동거하는 가족의 수를 써 주십시오. ( 명)

2. 귀하의 주 간호자는 누구라고 생각하십니까?

□①배우자 □②아들 □③며느리 □④딸

□⑤친척 □⑥간병인 □⑦기타

3. 귀하의 가족형태는 어떻게 되십니까?

□①혼자 산다 □②부부만 산다 □③미혼자녀와 산다

□④기혼자녀와 산다 □⑤기타( )

4. 따로 산다면 가족이 방문하는 횟수는 어떠하십니까?

□①매주1회이상

□②한달에 한번이상

□③한달에 두 번이상

□④한달에 세 번이상

5. 손상 전 가족은 어느 분이 부양하셨습니까?

□①본인 □②배우자 □③자녀

□④형제 □⑤친척 □⑥기타( )

6. 현재 가족은 어느 분이 부양하고 계십니까?

□①본인 □②배우자 □③자녀

□④형제 □⑤친척 □⑥기타( )

■다음 문항은 가족관련특성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합니다.

귀하가 생각하는 것과 가장 일치된다고 생각하시는 해당란에 √표 및 답을 해 주십시오.

Page 76: ± º 1 C : WD ` ¿ À n 2 L ¤ 2X û ï > ÑÑ Â (D 0I ³ · 2019-06-28 · U 8 û ¹ 8 i ä î ± a Þ î Þ q ç ± & t F I ã À ( Ý ì 2 5 ý z ð ç ± ( ¶ ® û é è I

- 64 -

7. 귀하의 경제수준은 어디에 해당한다고 생각하십니까?

□①하 □②중․하 □③중

□④중․상 □⑤상

8. 한달 평균가족수입은 어떻습니까?

□①99만원 이하 □②100만원-199만원

□③200만원-299만원 □④300만원 이상

9. 치료비 부담은 주로 누가합니까?

□①배우자 □②아들 □③며느리

□④딸 □⑤친척 □⑥기타( )

Page 77: ± º 1 C : WD ` ¿ À n 2 L ¤ 2X û ï > ÑÑ Â (D 0I ³ · 2019-06-28 · U 8 û ¹ 8 i ä î ± a Þ î Þ q ç ± & t F I ã À ( Ý ì 2 5 ý z ð ç ± ( ¶ ® û é è I

- 65 -

■다음 문항은 환자의 일상생활동작 수행정도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합니다. 귀하가 생각하는 것과 가장 일치된다고 생각하시는 해당란에 √표 를 해 주십시오.

내 용혼 자 서 쉽게 할 수 있다

혼 자 서 할 수 있으나 어렵다

부분적으로 다른 사 람 의 도 움 을 받는다

다른사람의 도움없 이 는 할 수 없다

1. 물을 마시거나 식사를 할수 있습

니까?④ ③ ② ①

2. 웃옷을 입을 수 있습니까? ④ ③ ② ①

3. 바지를 입을 수 있습니까? ④ ③ ② ①

4. 보조기를 사용하십니까? ④ ③ ② ①

5. 남: 면도를 할 수 있습니까?

여: 화장, 머리손질을 할 수 있습

니까?

④ ③ ② ①

6. 세수, 목욕을 할 수 있습니까? ④ ③ ② ①

7. 소변을 가릴 수 있습니까? ④ ③ ② ①

8. 대변을 가릴 수 있습니까? ④ ③ ② ①

9. 대,소변후 뒤처리를 할 수 있습니

까?④ ③ ② ①

10. 의자에서 일어나고 앉는 것을

자유롭게 할 수 있습니까?④ ③ ② ①

11. 화장실 출입을 할 수 있습니까? ④ ③ ② ①

12. 목욕탕속을 자유롭게 드나들 수

있습니까?④ ③ ② ①

13. 50보 이상을 걸을 수 있습니까? ④ ③ ② ①

14. 계단을 5개정도 오르내릴 수 있

습니까?④ ③ ② ①

15. 걸을 수 없는 경우 휠체어를 사

용할 수 있습니까?④ ③ ② ①

Page 78: ± º 1 C : WD ` ¿ À n 2 L ¤ 2X û ï > ÑÑ Â (D 0I ³ · 2019-06-28 · U 8 û ¹ 8 i ä î ± a Þ î Þ q ç ± & t F I ã À ( Ý ì 2 5 ý z ð ç ± ( ¶ ® û é è I

- 66 -

■다음 문항은 귀하가 요즘 느끼고 있는 가족지지에 대하여 알아보고

자 합니다. 귀하가 생각하는 것과 가장 일치된다고 생각하시는 해당란

에 √표 를 해 주십시오.

내 용항상

그렇다

자주

그렇다

보통

이다

어쩌다

그렇다

전혀

그렇지

않다

1. 가족은 나에게 회복 될 수 있다

고 용기와 격려를 준다.⑤ ④ ③ ② ①

2. 가족은 내가 불편하지 않도록

도와준다.⑤ ④ ③ ② ①

3. 가족은 나를 아끼고 사랑한다. ⑤ ④ ③ ② ①

4. 나는 나의 가족을 믿고 의지 할

수 있다.⑤ ④ ③ ② ①

5. 가족은 내가 지루하지 않도록

많은 이야기를 해준다.⑤ ④ ③ ② ①

6. 가족은 나를 귀찮은 존재로 생

각한다.⑤ ④ ③ ② ①

7. 가족은 경제적인 이유로 나를

부담스러워한다.⑤ ④ ③ ② ①

8. 가족은 나의 의견을 존중해 준

다.⑤ ④ ③ ② ①

9. 가족은 나와 집안일을 의논한

다.⑤ ④ ③ ② ①

10. 가족은 나에게 헌신적인 도움

을 준다.⑤ ④ ③ ② ①

11. 가족은 내가 외로워하거나 괴

로워 할 때 보고 싶은 사람을

만날 수 있도록 도와준다.

⑤ ④ ③ ② ①

Page 79: ± º 1 C : WD ` ¿ À n 2 L ¤ 2X û ï > ÑÑ Â (D 0I ³ · 2019-06-28 · U 8 û ¹ 8 i ä î ± a Þ î Þ q ç ± & t F I ã À ( Ý ì 2 5 ý z ð ç ± ( ¶ ® û é è I

- 67 -

■다음 문항은 환자의 우울 정도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합니다.

귀하가 생각하는 것과 가장 일치된다고 생각하시는 해당란에 √표 를 해 주십시오.

내 용 아니다때때로

그렇다

자주

그렇다

거의

항상

그렇다

1. 나는 의욕이 없고, 우울하거나 슬프다. ④ ③ ② ①

2. 나는 하루중 아침이 가장 기분이 좋다. ④ ③ ② ①

3. 나는 갑자기 울고 싶거나 눈물이 난다. ④ ③ ② ①

4. 나는 밤에 잠을 설치거나 아침에 일찍

깬다.④ ③ ② ①

5. 나는 전과 다름없이 식욕이 있다. ④ ③ ② ①

6. 나는 이성과 이야기하고 함께 있기를 좋

아한다.④ ③ ② ①

7. 나는 체중이 준것 같다. ④ ③ ② ①

8. 나는 변비가 있다. ④ ③ ② ①

9. 나는 심장이 두근거린다. ④ ③ ② ①

10. 나는 별이유없이 몸이 나른하고 피곤하

다.④ ③ ② ①

11. 내 머리가 한결같이 맑다. ④ ③ ② ①

12. 나는 어떤 일이든 예전처럼 쉽게 처리

한다.④ ③ ② ①

13. 나는 안절부절하며 진정할 수가 없다. ④ ③ ② ①

14. 나의 장래는 희망적이라고 생각한다. ④ ③ ② ①

15. 나는 예전보다 더 신경질(짜증)이 난다. ④ ③ ② ①

16. 나는 매사에 결단력이 있다고 생각한다. ④ ③ ② ①

17. 나는 사회에 유익하고 필요한 사람이라

고 생각한다.④ ③ ② ①

18. 나는 삶에 의의를 느낀다. ④ ③ ② ①

19. 내가 죽어야 남들이 편할 것 같다. ④ ③ ② ①

20. 나는 전과 다름없이 만족하게 일한다. ④ ③ ② ①

Page 80: ± º 1 C : WD ` ¿ À n 2 L ¤ 2X û ï > ÑÑ Â (D 0I ³ · 2019-06-28 · U 8 û ¹ 8 i ä î ± a Þ î Þ q ç ± & t F I ã À ( Ý ì 2 5 ý z ð ç ± ( ¶ ® û é è I

- 68 -

1. 귀하의 성별은 어떻게 되십니까?

□①남성 □②여성

2. 귀하의 연령은 어떻게 되십니까? ( 19 )년생

3. 귀하의 결혼상태는 다음중 어디에 해당합니까?

□①미혼 □②기혼 □③별거

□④이혼 □⑤사별

4. 귀하는 현재 직업은 어떻게 되십니까?

□①관리직(공무원 및 임직원) □②보건의료전문직

□③기타 전문직 □④사무직

□⑤서비스업(서비스 근로자 및 상점․시장 매매종사자 등)

□⑥농․축․수산업 □⑦생산직

□⑧단순노무직 □⑨주부

□⑩군인 □⑪학생

□⑫무직 □⑬기타( )

5. 귀하의 교육수준은 다음 중 어디에 해당합니까?

□①무학 □②국퇴/졸 □③중퇴/졸

□④고퇴/졸 □⑤대퇴/졸 이상 □⑥대학원이상

6. 귀하의 종교는 어디에 해당합니까?

□①무교 □②기독교 □③불교

□④카톨릭 □⑤기타( )

♥수고하셨습니다. 설문에 응답해 주셔서 다시 한 번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다음은 일반적 특성에 대한 질문입니다.

해당되는 항목에 √표를 해주십시오.

Page 81: ± º 1 C : WD ` ¿ À n 2 L ¤ 2X û ï > ÑÑ Â (D 0I ³ · 2019-06-28 · U 8 û ¹ 8 i ä î ± a Þ î Þ q ç ± & t F I ã À ( Ý ì 2 5 ý z ð ç ± ( ¶ ® û é è I

- 69 -

Abstract

Analysis of in daily activities, family support

and depression in hemiparesis patients due to

stroke

Han, Young Ae

Dept. of Health Administration

The Graduate School of Health & Environment

Yonsei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help those with hemiparalysis following

cerebral apoplexy rehabilitate by examining their characteristics involved the

performance in daily activities, family support and depression status and

identifying their effects on their rehabilitation. A total of 120 patients (60

in-patients and 60 out-patients) with hemiparalysis following cerebral apoplexy

were surveyed through a questionnaire in a general hospital based in Wonju

from March 29 to April 24, 2003.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Based on the correlation analysis among performance in daily activities,

family support and depression status, there was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ability to perform daily activities and family support (P=0.421).

But there was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performance in daily

activities and depression (P <0.01) and between family support and depression

Page 82: ± º 1 C : WD ` ¿ À n 2 L ¤ 2X û ï > ÑÑ Â (D 0I ³ · 2019-06-28 · U 8 û ¹ 8 i ä î ± a Þ î Þ q ç ± & t F I ã À ( Ý ì 2 5 ý z ð ç ± ( ¶ ® û é è I

- 70 -

(P <0.01). That is, there was a strong inverse correlation between the

performance in daily activities and depression and between family support and

depression.

2. Subjects showed better performance in daily activities when they were

aged 40 or below, when they had a spouse or more than high school-level

education, when they didn't rely on assistive devices, when they maintained

their life style such as socializing and pastime activities even after the

paralysis, when they were a bread earner in the family or when they were

afford to pay for their medical expenses (P<0.05).

3. Subjects had better family support when they had a spouse and received

his or her care, when they lived with their spouse only, when they were a

bread earner in the family, when they were afford to pay for their medical

expenses, when they were middle class or when their average monthly income

was above 2 million won (P<0.05).

4. Subjects tended to be less depressed when they were aged 40 or below,

when they had a job or more than high school-level education, when they

were married, when they were taken care of by their spouse, when they lived

with their children, when they were a bread earner in the family or when they

were afford to pay for their medical expenses (P<0.05).

The results of the study confirm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relationship

among the performance in daily activities, family support and depression in

patients with hemiparalysis following cerebral apoplexy. Given the fact that

most subjects received full support from their family members,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support and depression was not meaningful as much as it was

expected.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formance in daily activities and

depression is mainly characterized by the depression that subjects endure as

they face limitation in performing daily functions after being partially

Page 83: ± º 1 C : WD ` ¿ À n 2 L ¤ 2X û ï > ÑÑ Â (D 0I ³ · 2019-06-28 · U 8 û ¹ 8 i ä î ± a Þ î Þ q ç ± & t F I ã À ( Ý ì 2 5 ý z ð ç ± ( ¶ ® û é è I

- 71 -

paralyzed. Most subjects needed assistance with their daily functioning and

were well taken good care of but felt depressed. Subjects' performance in

daily activities was strongly affected by age, spouse present, education level,

the use of assistive device, life style after being paralyzed, bread earner status

and self-supportive with medical expenses. The degree of family support

varied with spouse present, nursing provider, family pattern, bread earner

status, economic condition, average monthly income, self-supportive with

medical expenses. Subjects' depression level was influenced by age, job or

job less, spouse present, education level, nursing provider, family pattern, bread

earner status and self-supportive with medical expenses.

In conclusion, the study suggests that those with hemiparalysis following

cerebral apoplexy will be better able to cope with their limitation and improve

their rehabilitating ability, when they are given supportive care in an effective

manner by identifying their individual characteristics involved in performance

in daily activities, family support and depression. It also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developing a variety of nursing skills to enhance the

performance of paralyzed patients in their daily activities.

Key words: performance in daily activities, family support and depression